동대문교회 남은사람들 3.1절 기념예배와 행사의 뒤탈

박상연
  • 2792
  • 2015-03-09 05:39:04
3.1 독립만세운동의 역사적 의의

Ⅰ. 3.1 독립만세운동 개념 정의
1919년 3.1 서울의 파고다 공원, 태화관 그리고 전국 9개지역에서 <독립선언서> 선포와 이후 1 년 여 동안 우리나라와 만주. 연해주까지 확산된 항일 민족 독립

Ⅱ. 3.1 독립만세운동의 투쟁양상과 요구
■ 투쟁양상
① 기본적으로 평화적 독립만세운동
: 태극기 흔들며, 장날, 악대, 나팔, 종교인이 중심이 되어
② 폭력충돌도 있었다.
건물, 서류, 기구파괴. 몽둥이, 투석
③ 협박이 수반된 시위도 있었다.
ex. 군수에게 독립만세 같이 부르자고 (의령,함안, 하동, 마산)
④ 파업이 수반된 시위도 있었다.

■ 요구사항
① 조속한 시일 내 완전 독립 원한다.
② 우리나라에 이주한 일본인을 일본으로 돌려보내야 한다.
③ 독립될 때까지 일본인과 조선인 평등대우
④ 독립될 때까지 관공리는 일본인과 조선인이 평등하게 임명
되어야 한다.
⑤ 독립될 때까지 일본 본토와 같은 교육기관이 한반도에도 설립 되어야 한다.
⑥ 헌병은 물러가고, 군대분산배치도 거두어야 하며, 소요사건의 피고는 전부 석 방되어야 한다. 소요사건 범인으로 수배중인 사람도 해배되어야 한다.
⑦ 늘어난 세금을 줄이고, 특히 술과 담배세는 반감되어야 한다.

Ⅲ. 역사적 의의
1) 한국민에게 민족독립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소망을 불어넣어 주었다.
일제가 한국민이 세계만방에 식민통치에 열복했다고 선전했던것이 뒤집힌것이다. 2)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4)가 수립되어 민족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되었 다.
3)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항일민족독립투쟁이 가능하여졌다.
- 대한독립군, 국민군, 북로군, 대한의용군, 광복군(총연)등이 일본군과 교전
ex 홍범도장군의 대한 독립군이 봉오동 전투에서 승리
김좌진장군의 북로군(정서)이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
4) 국내민족운동에도 큰 힘을 불어 넣어 주었다.
한국인의 고등교육을 위해 민립대학 기성회 조직으로 발전시킴
물산장려운동, 근검절제운동 등 실력양성운동이 국민을 깨우고 독립을 준비하게 만듬
5) 민주화 운동의 계기
-옛 왕조를 회복하겠다는 것이 아니고 백성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세우겠다는것 -평민출신(양반이 아니고) 지도자가 민족운동을 이끔
-제1차 세계대전 전승국인 일본의 침략, 강권 질서를 비판하며 일어난 운동으로 피압박민족의 입장에서는 세계 최초 항거
6) 3.1운동에 자극받아 세계의 피압박 약소국가 민족의 독립운동의 계기를 만듬
ex. 중국의 북경대학 중심의 5.4운동(“조선을 본받자”)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 비폭력 무저항 독립운동
필리핀, 베트남, 이집트에도 영향을 미쳤다.
7) 우리의 적대국인 일본에 대해서도 열린 마음으로 공존과 호혜를 강조 (민족의 성 숙도 보여줌)
8) 인류양심의 회복, 인류의 공동선을 추구하는 운동
→ 동양평화, 세계평화지향

Ⅴ. 크게 성공하지 못한 이유
① 일제의 유혈적인 극악한 탄압이 주원인 이었다.
② 전 민족을 지도하고 역량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도록 지도할 조직체가 없었다.
③ 당초 운동의 준비단계에서 지도적 위치에 있던 민족대표가 구체적인 투쟁계획 과 전술을 수립하지 못하여 운동이 유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하였다.
④ 제국주의적 국제질서에 대한 낙관론적인 인식하에 강경투쟁이 청원주의적 방식을 채택하였던 점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승국인 영미일 3국 모두 자기의 식민지 문제를 내정으로 취 급하였으며 한국문제도 그렇게 취급되었다.

정대철 의원


한양성곽 공원 내에 동대문교회는 보존 되어야 한다

갑오농민전쟁(1894년) 발생시에 동학군의 구호는 “척양척왜(斥洋斥倭) 이었으나 미국 선교사들이 1889년부터 동대문감리교회(감리교의료선교본부-조선총독부는 이렇게 불렀음)에서 어려운 백성들에게 무료의술로 봉사 한다는 소문이 퍼져 이를 안 동학농민군이 ”척양“은 빼고 ”척외“ 의 기치만을 들고 민중 봉기하였습니다. -이후 이것이 미국인들은 한국인을 사랑하는 사람들 이라는 인식을 싹트게 했고, 우리가 아메리카 합중국을 아름다울 미 美國 미국(중국과 일본은 쌀미자인 米國 이라 함)이라 부르게 된 연유가 되었음-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으로 동대문교회에는 학생과 청년들로 넘쳐나 그 수가 1.000여명을 넘었고 이들이 1919년(기미년) 3.1운동 독립만세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한편, 1886.8월 토머스 에디슨이 등사기를 발명하였는데 동대문교회(당시 감리교의료선교본부)에 봉직하던 선교사가 가지고 들어온 이 등사기를 이용해 삼일운동의 전단지를 제작하여 청년, 학생들로 하여금 민중들에게 전달 하게 하였고, 기미년3.1일 동대문교회 “벙커의 종” 타종을 하였고 그 소리가 파고다 공원까지 울려 퍼져 나갔으며, 흥인문에서 종로 파고다공원 쪽으로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행진 하였다.

이것이 동대문교회가 3.1절 운동의 핵심적 역할을 감당한 역사이기에 우리는 자랑스러운 마음으로 이를 기념하는 것이며 또한 한양성곽 공원 내에 동대문교회가 반드시 복원 되어 보존되어야 할 이유 중 하나입니다.
첨부파일

이전 이충섭 2015-03-08 오늘 전도일기
다음 유삼봉 2015-03-09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막달라 마리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