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교회와 목회에 유익한 성도/12월4일주/강림절2주/강단보라색.

박영규
  • 1453
  • 2022-12-04 01:27:48
blog.naver.com/amenpark

설교-교회와 목회에 유익한 성도
성경-디모데후서 4:11절

오늘은 교회와 목회에 유익을 주는 성도라는 제목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드리면서 교회와 목회에 유익한 역할을 한 마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마가는 신약성경 《마가 복음서》의 저자로 간주되는 인물로 마가라고 한다. 그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이 초대 교회 예배 장소로 쓰였다. 예수님께서 베푸신 ‘최후의 만찬’도 마가의 집 2층 다락방에서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마가는 영어로 Mark 한글로 마가라고 한다. 히브리식 이름은 요한네스이다. 예수께서 직접 택한 제자는 아니었으나 예루살렘 교회의 유력자이다. 여러모로 사도 바울을 도왔다(빌레몬 1:24). 바울의 제1차 전도여행 때 바나바와 함께 사이프러스(구브로섬) 밤빌리아 까지 동행하여 선교했는데(사도13:13), 바울은 그를 유익한 인물로 언급하고 있다(딤후 4:11)

예루살렘에 있는 그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이 초대 교회 예배 장소로 쓰였기 때문에 사도들을 비롯하여 유력한 많은 친분을 가지고 있었다. 9세기에 마가의 유골이 알렉산드리아에서 발견되어 수로(水路)로 이태리 베네치아에 운구되었는데, 이 때 베네치아에는 그 유골 안치를 위해 성 마가 교회가 세워졌다.
출처-마가[Saint Mark]라이프성경사전

마가의 이름 뜻은
‘큰 망치’, ‘여호와는 은혜로우시다. 는 뜻. 히브리식 본명은 ‘요한’(행 15:37). ‘마가’는 로마식 이름. 그래서 이해를 돕기 위해 ‘마가라 하는 요한’(행 12:12, 25)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바나바의 생질(조카)이었고(골 4:10). 마리아의 아들(행 12:12). 예루살렘 출신의 레위 지파 사람으로 전승에 의하면, 그가 70인 제자 중 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마가의 일대기를 살펴보면,
① 그의 집이 초대 예루살렘 교회당으로 사용된 것(‘마가의 다락방’은 예수께서 최후의 만찬을 하셨던 곳이자, 오순절 교회가 탄생한 장소였음)으로 볼 때 마가는 어려서부터 신실한 신앙 가운데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행1:12-15; 12:12).

② 사도 바울의 1차 선교여행 때 친척 바나바와 함께 동행하였으나 도중에 귀향했다(행 13:13).

③ 바울의 2차 선교여행 때 마가의 동행 여부를 놓고 바울과 바나바가 갈등을 빚어 서로 결별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그후 바나바와 함께 구브로 섬으로 건너가 선교사역을 하였다(행 15:39).

④마가는 10여 년 후 로마 옥중에 있는 바울을 돕고 좋은 협력자가 된다(몬 1:24; 딤후 4:11). 바울은 마가를 인정하면서 골로새 교회 성도들에게 마가를 기꺼이 맞아줄 것을 부탁하기도 했다. 바울은 마가 일행(유스도)이 하나님 나라를 위한 동역자가 되었으며 그들이 자신에게 참된 위로가 되었다고 피력하기도 했다(골 4:10-11)

⑤사도 요한의 제자 파피아스(Papias)에 의하면, 바울의 순교 후 로마에서 사도 베드로의 통역을 맡은 것으로 전해진다(벧전 5:13).

⑥파피아스에 의하면, 베드로를 통해 마가복음을 기록할 수 있었다고도 한다.

⑦전승에 의하면, 애굽의 지중해 연안 항구도시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교회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⑧ 마가복음을 기록한(A.D. 67-70년경) 직후 알렉산드리아에서 순교한 것으로 전해진다(Eusebius).
출처-마가[Mark](라이프성경사전, 2006. 8. 15., 가스펠서브)

참고로 마가 다락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가의 다락방[Cenaculum, Cenacle ]
예수님께서 대제사장의 하속들과 로마군에 체포되기 전날 12제자와 함께 마지막 유월절 만찬을 나눈 곳으로 알려진 다락방.

시나클룸(Cenaculum, 식당)이라고도 불리는 마가의 다락방은 신약 성경에 따르면 예수님이 대제사장의 하속들과 로마군에 체포되기 전날 12사도와 함께 마지막 유월절 만찬을 나눈 다락방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이것이 오늘날 성만찬식의 기원이기도 하다.(마가복음 14:12-25, 누가복음 22:7-13)
또한 이곳은 예수님께서 승천한 후 가롯 유다 대신 마티아[맛디아](Matthias)를 사도로 선출한 장소이자(사도행전 1:12-26), 예수님의 제자들이 오순절 성령강림을 체험한 장소이기도 하다.(사도행전 2:1-3)

제가 하나님의 은혜로 성지순례를 3번가서 3번 마가 다락방에 가 보았는데 오늘날 마가의 다락방은 예루살렘 성의 시온 문에서 바깥쪽으로 약 100m 거리에 있는 2층 석조건물에 있습니다.

다락방 내부는 로마네스크 양식으로서, 3개의 중심 기둥과 주위 벽을 따라 세워진 기둥들이 곡선으로 연결되어 아치를 이루며 천정을 받치고 있다.

AD 70년 로마 황제 티투스에 의해 예루살렘이 점령 당했을 때에는 피해를 입지 않았으나, 614년에 페르시아(이란) 군대의 침입으로 인해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한 뒤 1176년에 다윗 왕의 무덤이 건물의 아래 층에 모셔지고 윗 층은 모데스투스(Modestus)라는 수도사에 의해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그 후 1333년부터 1552년까지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의해 관리되었으나 오스만투르크(터키) 제국이 통치하게 되며 건물 윗부분이 이슬람 사원으로 개조되었다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다시 로마 가톨릭의 소유로 돌아왔다.
출처-마가의 다락방[Cenaculum, Cenacle](두산백과)

마가와 마가 다락방,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의 역할을 보면 은혜가 됩니다.
1.마가는 마가복음을 기록했습니다. 사도 요한의 제자 파피아스에 의하면, 베드로를 통해 마가복음을 기록함
2.마가의 집에서 예수님께서 성만찬을 거행하셨습니다.
3.마가의 집에서 사도 맛디아를 가룟유다 대신 보선하였습니다.
4.마가의 집 다락방에 성령이 강림하셨습니다.
마가 다락방에 120명이 모여 기도 할 때 성령이 마가 다락방에 강림하실 때 마가도 120명 중 한 사람으로 성령을 받았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5.마가의 집에서 예루살렘 교회가 시작되었습니다.

6.베드로 사도가 헤롯왕에게 처형되기 전날 천사가 나타나 베드로 사도를 옥에서 나오게 했고 베드로 사도가 마가의 집에 가 보니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와 성도들이 베드로 사도를 위해 기도를 드리고 있었습니다(행12:1-19)

7.마가가 친척 바나바를 따라가 구브로 섬에 가서 선교함(행15:39) 마가는 바나바의 생질임(골4:10)
8.베드로 사도가 마가를 아들이라고 부르며 아들로인정함(벧전5:13)
9.마가는 바울 사도의 동역자임[바울 사도가 동역자라 함(빌레몬24절)
10.바울 사도가
디모데에게 마가를 데리고 오라며 마가가 나의 일에(선교와 목회)유익하다 함(딤후4:11)
11.바울 사도가 로마에서 골로새 교회에 마가를 영접하라고 추천함(골4:10)
12.이집트의 지중해 연안 항구도시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교회의 창시자임
13.마가는 예루살렘 출신의 레위 지파임
14.옥중에 있는 바울사도를 돕고 옥바라지를 하는좋은 협력자가 됨(몬 1:24, 딤후 4:11)
15.마가복음을 기록한(A.D. 67-70년경) 직후 알렉산드리아에서 순교함
베드로 사도는 AD65년 바울사도는 AD67년에 순교함.

마가는 마가복음 성경을 기록했습니다.
마가의 집에서 예수님께서 성만찬을 거행하실 때 마지막 만찬을 준비하는 어머니 마리아를 도우며 예수님의 모습을 뵙고 예수님의 칭찬을 받았을 것입니다. 마가의 집에 성령이 강림하셨습니다.

이때 마가도 성령을 받은 120명 가운데 한 사람이었을 것입니다. 마가의 집에서 예루살렘 교회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마가네 집이 베드로 사도가 옥에서 나와 사도들과 목회한 예루살렘교회 입니다(행12:1-19)

베드로 사도가 마가를 아들이라고 했습니다(벧전5:13)
마가는 바울 사도의 동역자입니다(빌레몬24절)
오늘 성경 본문에 보면 바울 사도가 마가를 유익하다고 하였습니다(딤후4:11)
마가가 이집트의 지중해 연안 항구도시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교회를 세웠습니다.
마가는 레위 지파입니다.
마가는 바울 사도를 옥바라지를 하는 좋은 협력자 였습니다(몬 1:24, 딤후 4:11)
마가복음을 기록 후(A.D. 67-70년경)알렉산드리아에서 순교한 순교자입니다.
마가와 같이 교회와 목회에 도움이 되는 성도가 되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서울제자교회 전 담임목사
동대문교회 협동목사
한국 위안부 소녀기념교회 목사

이전 홍일기 2022-12-03 2022년 성탄 트리 점등식을 하면서
다음 홍일기 2022-12-04 참 기쁘고 행복한 결혼식 주례를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