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감리교회를 장로교회에 팔아먹으려는 유다 목사들
이현석
- 2557
- 2023-01-03 04:54:56
1. 그것을, 1910년 교황 비오 10세는 근대주의라고 비판했다.
2. 19세기 말, 근대주의는 미국에 영향을 끼지기 시작했다.
19세기말, 근대주의를 둘러싼, 갈등이 가장 심한 곳은, 미국의 남침례교와 북장로교였다.
이들 신학교에서는 “종교재판”이 열렸고, 교수들이 축출되었다.
① 브리그스는 성경의 원문에도 오류가 있을수 있다고 말하였다.
그의 주장은, 계시란 근본적으로 신적이며 오류가 없지만, 오류가 있는 “인간의 자취”를 가질 수 있다.
그는, 성경의 권위와 성경내의 “초자연적인 차원”을 옹호했다.
하지만, 1891년, 장로교 총회는 그를 교수직에서 쫒아냈다.
쫓겨난 브그리스는 성공회로 갔다.
② 1909년, 장로교회에서는 “예수의 동정녀 탄생”을 고백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목사 안수를 주어서, 발칵 뒤집혔다. (이상한 놈들이다)
3. 그래서 나온 것이, 장로교회의 5개 근본조항이다.
4. 1920년대와 1930년 주로 장로교와 침례교를 중심으로, 근대주의와 맞짱을 뜨려고 모이기 시작했다. 이게 근본주의다.
5. 그레섬 메이첸(1881-1937)은 “기독교와 자유주의”(1923)를 통해서, 근대적 요소를 수용한 기독교는 기독교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의 논리는 근대주의를 이단으로 정죄한, 교황 비오 10세와 같다.
6. 어번선언서(1924년)를 둘러싸고, 장로교회들이 분열되기 시작했다.
# 교회협도 그닥 안 이쁜데, 근본주의를 주장하는 원로목사님들은 진짜 웃기다.
왜 장로교회 운동을 하면서, 감리교회에서 은급비를 받으시는지 모르겠다.
Ⓐ근본주의에 대한 당대 미국의 일반적 정의는, ‘부적응자’이다.
Ⓑ흥미로운 점은, 미국내 “근본주의 작은 교회 연합-나사렛과 같은”,이 의미있는 <성장>을 했다.
주류교단이 감소하고, Ⓑ가 성장했지만, 여전히 주류의 위치는 누구??
사회적 시각은 Ⓐ가 유효하다.
내 생각을 말하면, <냉정해야 한다>
무엇인가 축출하려고 하지 말고, 서로 이용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무엇인가를 축출하려는 태도는.. 결국, 교단을 약화시키고, 배신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