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을 받을 때는 고맙지만, 받고나서는 흉을 보고, 원수로 여긴다.

이현석
  • 1915
  • 2023-01-10 21:03:47
○1775년-1783년 : 미국독립전쟁
○1861년-1865년 : 남북전쟁
독립전쟁은 감리교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남북전쟁은, 노예와 전쟁에 대한 태도의 차이로 인해, 각 교파를 南北으로 나뉘게 만들었다.
북부는 교육수준이 높고 부유했고, 남부는 교육수준이 낮고 가난했다.

1. 19세기 미국의 부흥운동은, 감리교회, 침례교회 중심적이었다. 카톨릭이 성장했다
1776년 : 감리교인은 미국 전체 교회의 교인수중 3% 미만이었다.
1850년 : 감리교회가 미국내 가장 큰 종교단체가 되었다(34%)
1890년 : 이민의 증가등으로 인해, 카톨릭이 미국내 가장 큰 종교단체가 되었다.

2. 1890년의 변화를, 감리교회의 내재적 원인으로 찾는 학자들도 있다.
1) 침례교회는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 이들의 시각은, 1850년 이후 감리교회는 세속화되어, 매력을 상실하기 시작했다고 본다.
3) 세속화의 특징은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부유하고, ②유식해졌다.
성도들은 부유했고, 목회자들은 유식해졌다는 것이다.

3. 남북전쟁이후, 침례교회와 감리교회에는 상황 변화가 있었다.
1) 북침례교회는 감리교회와 비슷했다.
남침례교회는, 남북전쟁에서 패배한 남부에 있었고, 가난했다.
남북침례교회 목회자 연봉의 차이가 2배였다,
2) 미국 남부 지역의 교세현황은, 1880년 이후, (감리교회<침례교회)로 변화되었다.

4. 미국감리교회는 미국사회의 주류에 편입하면서 세속화의 길을 걸었다.
교육수준이 높아졌고, 경제적으로 부유해졌다.
그래서 한국감리교회가 가장 큰 혜택을 누렸다.

그들은, 왜 한국에 병원과 학교를 지어 선교했을까?
참고로, 1908년, 미국 감리교회가 개신교 가운데 처음으로 노동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어린이 여성등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했다.
그 돈은 어디에서 났을까?

우리는, 그들의 선교가 감사하다고 말하며, 세미나를 열고, 기념행사를 하지만, 뒤돌아서는 흉을 보고, 경멸하며, 원수로 여긴다.

# 더 도전적인 질문도 가능하다. 세속화의 문제이다.
성도들이 부자이고, 목회자들이 유식해졌다는 것이 왜 문제일까?
폐해를 직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대를 이어 목회하리만치 세속화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②혈연, 학연, 지연으로 연결된 경직된 카르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좋게, ①+②하여, 쉽게 풀이하면, 성도들이 부유해지면, 학벌 있는 목회자를 원한다.

5. 이제, 시각을 남침례교회까지 넓혀보자.
그들은 어떻게 미국 중산층을 장악하고, 주류사회에 진입했는가?
역사가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미국의 근본주의>는 어떤 역할을 했는가?

이전 최세창 2023-01-10 갈라디아서 19강 2:1-10 예루살렘 회의(2:2b-5)
다음 이현석 2023-01-11 남침례교회는 어떻게 중산층을 장악하고, 주류사회에 진입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