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회 '교권과 간신배' 라 하니

함창석
  • 2077
  • 2012-07-18 01:57:24
감리회 본부 구성원을 ‘교권 간신배’로 표현한다면
앞으로 정말 ‘교권간신배’가 되려고 애를 쓰는 이들은 누구인가?

교권(敎權)

1. 교사로서 지니는 권위나 권력.
2. 종교상의 권위. 특히 가톨릭에서 교회 또는 로마 교황의 권력을 이른다.

교권(敎勸)

가르쳐 권함.

교권제도(敎權制度)

성자(聖者)가 모든 백성을 지도하고 지배한다는 권리 제도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교황이 모든 세속적인 권력 위에 있어서, 국가라 할지라도 교회의 승인이 있는 한도 안에서 권력을 수행함.

교권주의(敎權主義)

교황 지상주의
교황이 그 직책과 관련하여 신앙과 도덕에 대하여 엄숙히 선언할 때에, 오류를 범할 수 없다는 사상.

교권 남용

교육청은 대부분의 학교가 학생 체벌을 채택한 것은 실추된 교권을 확립하기 위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교단에서 교권을 장악하기 위한 분쟁이 가시질 않고 있었다.

‘시대와의 불화’

교권이 왕권에 우선하던 중세에의 향수에 뒤늦게 취한 것일까.

............................................

간신배(奸臣輩)

간사한 신하의 무리.

‘녹두 장군’

조정으로 쳐들어가서 이런 간신배들 목을 전부 벨 때까지 그놈들이 업고 설치는 상감 위의를 인정할 수가 없습니다.

면종후언하는 간신배.

김이[金怡]

고려 말기의 문신(1265~1327). 자는 열심(悅心)ㆍ은지(隱之). 춘양 김씨의 시조로, 충선왕 때에 왕의 부자 사이를 이간하려는 간신배를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아첨이란 간신배들이 하는 것이라 여기는 사회풍토 속에서 간신배의 간질을 합한 말로 여겨지며, 간신질이 강한 어조로 간씬질이 된 것으로 여겨짐.

이전 이재신 2012-07-18 십자가는 싸워서 얻을 수 없음의 증거
다음 서정식 2012-07-18 김기택 감독회장님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