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대형교회지만 자녀에게 물려주지 않은 목회자들
김교석
- 3370
- 2012-07-21 20:53:30
충현교회 김창인 원로목사의 세습 회개 사건이 큰 파장을 일으키면서 대형교회 세습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자녀에게 편안한 목회의 길을 제공해 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이 빚은 대형교회 세습. 하지만, 이를 단호하게 거부한 사례도 적지 않다.
출석성도 7천명 규모의 부산 [호산나교회 최홍준 목사]는 사위가 목사였지만 후임목회자로 세우지 않았다.
게다가 일반적 은퇴 시점인 70세보다 훨씬 이른 65세에 담임목사직을 내려놓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2만명이 출석하는 부산에서 가장 큰 [수영로교회]. 지난해 말 은퇴한 정필도 목사도 아들은 물론 사위까지도 목사였지만 교회를 물려주지 않았다.
충남의 홍성성결교회. 지금은 고인이 된 송헌빈 원로목사에게는 목사 아들이 4명이나 있었고, [교인들도 원로목사의 아들 가운데 한명을 청빙하기 원했지만] 원로목사가 단호히 거부했다. 그 전통은 후임에게로까지 이어져 송헌빈 원로목사의 뒤를 이은 유기성 원로목사도 목회자 아들이 있었지만 교회를 물려주지 않았다.
성도 1천명이 넘는 서울 강남의 화평교회 안만수 원로목사와 7천여명 규모의 서울 성수동 성락성결교회 박태희 원로목사 역시 아들이 목사였지만 외부에서 후임목회자를 청빙해왔다.
서울 도곡동의 강변교회 김명혁 원로목사 역시 목사 사위가 있었지만 교회를 세습하지 않았다.
건강한 리더십 교체..바람직한 청빙과정으로 구현되기도
이들 목회자들은 자신의 인간적 욕심보다 하나님의 뜻을 먼저 구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그 과정은 바람직한 청빙과정으로 구현되기도 한다.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는 청빙위원회를 구성해 전 교인이 합심해 기도하고 비록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민주적인 절차를 밟아 후임 목회자를 선정하는 것이다.
한편, 세습 반대 운동을 해온 교회개혁실천연대는 자세한 청빙절차와 유의할 점, 모범적 사례 등을 홈페이지에 소개해 바람직한 청빙운동을 제안하고 있다.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리더십 교체를 통해 사회에 모범을 보이는 것, 한국교회의 신뢰도를 높이는 한 방법일 것이다. jeenylove@cbs.co.kr
--------------------------------------------------------------
사실 교회는 담임목사의 소유가 아니기에 물려줄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물려주지 않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세습하지 않은 목회자가 칭찬]을 받는다.
잘못 되어도 너무 잘못된 것인데, 여전히 세습을 청빙이라고 우기는 홍재철목사 같은 이들이 있고,
세습을 계대라고 우기면서 아들에게 물려주었다가, 아들도 맘에 들지 않아 내보내고,
말 잘 들을 것 같은 목사를 데려 왔다가 문제가 생겨서 어려움을 겪는 방배동의 모 교회도 있다.
세습은 하나님의 것을 내 것이라고 우기고 있는 심각한 죄악일 뿐만 아니라
맘모니즘을 세습[계대, 청빙 등]이라는 포장지로 화려하게 포장한 탐심의 발로에 다름 아니다.
이주연목사님의 글에 세습은 현대판 신사침배라는 말을 본 기억이 난다. 우상숭배라는 말이다.
사실 구약의 선지자들이 가장 질색을 하며 외쳤던 것이 우상숭배를 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언제까지 하나님과 바알 사이에서 머뭇머뭇하려느냐?\"고 외치고 있는 엘리야의 외침이 들리지 않는가?
세습은 \\'탐심\\'의 또 다른 이름일 뿐이다. 아무리 예쁘게 포장한 들 그 속에는 탐욕이 가득할 뿐이다.
결코 청빙이라고 우긴다고 청빙이 되는 것도 아니고, 물타기 한다고 달라질 것도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