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교회의 입교인숫자 그리고 수입액/결산액의 허수
이길종
- 3639
- 2015-02-03 19:01:55
작년에 발표한 2013년도 감리회결산액 100대교회의 자세한 자료를 얻지못하고 100대교회 중 상위4교회를 무작위로 택하여 입교인통계와 결산액을 보니 정확한 통계수치와는 거리가 있다.
-입교인이란 세례받은이로써 만18세를 넘은 자를 말함. 이 숫자가 각 교회의 정확한 성인(헌금을 제대로 할 수 있는)의 숫자이리라.
-총결산액이란 교회마다의 특정목적을 위한 지출을 제외한 교회의 인건비와 행사비와 건물유지보수등등 경상적으로 써야하는 제비용의 합한 지출 총액을 말함이리라.
-총수입액이란 결산액과 마찬가지로 특정목적을 위한 헌금을 제외한 총헌금과 기타수입의 총액을 말함이리라.
-우리교회의 경우 결산액과 수입액의 차이가 별로없다. 당기이월이 약간있을 따름이다. 건축이 끝났으니 목적헌금인 건축헌금없다.
2013년도의 감리회총수입액은 1조777억원, 입교인총수 81만명, 입교인1인당 헌금액 133만원이었다. 여기서 100대교회 중 내가 얻은 4개교회의 디테일을 함 보자...
......결산액으로 본 4대교회....
2위인 광림교회....입교인 30,000명에 결산액 78억원... 1인당 26만원...입교인이 39,000명이라는 설도있음.
7위인 만나교회....입교인 8,200명에 결산액 32억9,900만원...1인당 40만원.
10위인 숭의교회...입교인 7,000명에 결산액 26억8,900만원 1인당 38만4,000원.
11위인 금란교회...입교인 30,000명에 결산액 25억2,900만원 1인당 8만 4,000원.....입교인이 46,000명이라는 설도있음.
입교인 1인당 결산액이 26만원, 40만원, 38만원, 8만원이라니....참 장난도 심하게 했다.
이러고도 감리회의 100대교회라고 자랑하는가?
나머지 96교회의 숫자도 보나마나다. 엄청 다운된 숫자라는 의심이 간다.
.....총수입으로 보는 4대교회의 예상총수입액.....감리회 전체평균 1인당 133만원....
2위인 광림교회....입교인 30,000명이면 총수입액 399억원...예상
7위인 만나교회....입교인 8,200명이면 총수입액 109억원...예상
10위인 숭의교회...입교인 7,000명이면 총수입액 93억원....예상
11위인 금란교회...입교인 30,000명이면 총수입액 399억원...예상
예상총수입을 보면 4대교회는...각각..399억, 109억, 93억, 399억이 나온다. 그런데 과연 이교회들이 본부엔 얼마의 총수입액을 보고했겠나? 엄청줄였으리라...아마 사분의 일 혹은 오분의 십분의 일도 안 되리라는 예상이다. 나머지 96교회도 이하동문....
본부는 이런 숫자장난에 속수무책아닌가? 연회는 개체교회와 지방회에서 보고하는 대로 받고 본부는 연회에서 주는대로 받을 뿐이다. 그냥 단순히 덧셈만할 뿐이다. 이를 어쩔건가?
감독회장님은 함 답해보시라. 그리고 가능하다면 위 4대교회의 변명(?)을 듣고보고싶다.
왜 이런 현상이 나왔나 생각해보니...입교인수는 늘이고 결산액수입액은 줄인 탓이리라.
남에게 엄청난 입교인수 자랑하며 부담해야할 액수는 가능한한 낮추려는 꼼수리라.
마치 대기업들이 갖가지 편법으로 절세하고 탈세하는 모습 보는 것 같다. 규모있는 교회들이 정확한통계에 의한 부담금을 제대로 내면 감리회의 고질인 은급과 비전교회를 돕는 폭이 넓어진다.
본부는,,, 감리회는 지금의 부담금제도를 개혁해서 목회자들이 굳이 거짓통계를 보고해도 소용없는 분담금제도를 만들던지 입교인수와 헌금액수를 같이 발표해서 누구나보면 엉터리통계임을 알아 망신당하게 하든지
지금 감리회개혁특별위원회가 작동중인데....제도적개혁도 필요하지만 이런 기본적인 목회자들의 마인드가 바로 잡혀지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제도를 만들어봐야 도루묵이다. 기본정신이 인된 사람들이 기발한 꽤를 내어 개혁을 피할 건데 좋은 결과가 있겠나?
마치 19세기 조선왕조에 매관매직으로 수령직에 오른 탐관오리들이 조세제도 3가지인 전정田政, 군정軍政, 환곡還穀을 악용하는 걸 보는 것 같다. 이를 '삼정'의 문란이라고 묶어서 불렀다. 이런 빈털터리 정부재정의 한심한 상황하에서 조선은 일본에게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