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정부조치 유감
박인환
- 1467
- 2020-07-09 03:52:24
교회는 그동안 감염병 극복을 위해 정부당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정책에 최선을 다해 준수하였고, 사회적 어려움을 돕고자 물심양면으로 헌신하여왔다.
그러함에도 감염병 관리에 취약한 교회 시설 등에서 감염이 발생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지금까지 정부 당국이 기울여온 노력에 대하여 깊이 감동하고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정부의 국민 개개인 그리고 각 종 단체에 대한 방역준칙권고는 개개인, 사회 각 단체 뿐 아니라 종교단체도 협조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서로의 안전과 건강을 위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2020.7.8. 오전 정부의 발표는 유감스럽다. 좀 더 사려깊었어야 옳다. 정부는 정세균 총리(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를 통하여 ‘교회를 핵심 방역수칙 의무화 대상’으로 지정하면서, ‘정규예배 이외의 각종 모임, 행사, 식사 제공 금지 및 출입명부 관리 의무화 등’을 고지하는 동시에, ‘위반할 경우 처벌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심지어 김강립 ’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큰 소리로 노래하거나 기도하거나 말하는 행위 금지’도 고지하였다. 모여서 소리내어 기도하지 않고 찬송하지 않는다면 침묵하라는 말인가? 예배가 예배당에 모여 침묵하다가 가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이에 대하여 언론 일반은 기다렸다는 듯이 “교회 신도들, 정규 예배외 모이면 벌금 최대 300만원”, “교회 정규예배 회 소모임 단체식사 금지”, “위반 시 신도도 처벌” 등의 자극적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목사로서, 한 기독교인으로서 다음과 같이 요구하고 싶다
1.정부와 언론은 교회(종교단체)가 사회적 방역 체계를 위협하고 있는 듯한 표현을 중지하여야 한다.
2.정부의 이번 조치가 교회(종교단체)의 자발적 감염병 대처 노력을 폄훼하는 조치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3.정부가 교회(종교단체)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취한 '각종 금지명령'에 대하여 깊은 유감을 표한다. 아무리 급하여도 예배행위를 정부가 강제하는듯한 인상을 주어서는 안 된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하여 혼신으로 대처하며 예배하는 교회가 감염병 지침을 자발적으로 행함으로써 사회의 우려가 되지 않고 위로와 소망의 공동체가 되기를 기도합니다. 주님의 평화를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