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개발 현황 전망

김정효
  • 1206
  • 2020-08-30 17:14:30
코로나 백신 개발 현황 전망


전 세계 코로나 백신 개발 현황·전망 (서해, 2020.8)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뒤 8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1600만여 명이 신종 코로나19에 전염됐다. 이 바이러스는 각국에서 급속한 확산과 소강 국면을 반복하며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먹고, 사고, 움직이면서 삶을 이어나가야 하는 우리는 이제 이 지독한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세계인들의 관심은 백신에 쏠려 있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165개 이상의 백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 27개는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까지 진전된 상태다.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와 SK 바이오사이언스는 영국-스웨덴 다국적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의 국내 및 글로벌 공급을 위한 3자 협력의향서를 체결했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공동 개발 중인 ‘AZD1222’는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코로나19 백신 중 비교적 빠른 속도로 3상 임상시험에 진입했다. 대규모 3상 임상은 브라질과 남아프리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르면 10월쯤 긴급사용을 위한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코로나19가 가장 먼저 확산하기 시작한 중국은 백신 개발에서도 가장 앞서 있다.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칸시노 바이오로직스가 군사과학원 생물연구소와 함께 개발한 백신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 이 밖에 국영 제약기업인 중국의약그룹과 민간기업 시노백이 각각 아랍에미리트와 브라질에서 3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중국 측에 의하면 3상 시험을 3개월 이내 완료하고 연말 이전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준비 하겠다고 한다

미국 연방정부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등의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기업에 거액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미 의회는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100억 달러에 가까운 예산을 배정했다. 미 보건부는 이런 방식으로 개발된 백신을 무료 또는 싼값에 미국인들에게 제공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백신의 실제 사용이 가능해지려면 3상 임상시험까지 무사히 통과해야 한다. 1상, 2상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신호는 3상에서의 안정적인 결과까지 보장해주진 않는다. WHO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은 내년 초 이후에야 사람들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미국 식품의약국이 코로나19 치료제로 기대를 모으는 '렘데시비르'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8월 말에 확대했다. 28일부터 렘데시비르를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비롯한 모든 입원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국내 기업들도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도 곧 시작된다. GC녹십자와 국립보건연구원은 올 하반기 내에 혈장치료제 임상시험에 진입한다.

이전 박찬명 2020-08-30 감리교단의 개혁은 관변 단체의 개혁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음 이경남 2020-08-30 코로나 계엄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