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벧전 3:19(…영으로 옥에 있는 영들에게 전파하시니라)
최세창
- 1240
- 2020-10-24 18:58:36
이 구절과 다음 구절은 본서에서 가장 난해한 부분이다. 따라서 고래로 이 구절에 대한 해석은 매우 다양한데, 그 중 주요한 견해는 다음과 같다.
(1) 예수 그리스도 시대보다 훨씬 이전인 노아 시대에 선재하신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노아를 통해 죄인들(현재는 옥에 있음.)에게 전도하셨다.⑧
(2) 모페트(Moffatt)는 “육으로는 그(그리스도)는 죽으셨으나 영으로는 사셨다. 옛날 노아의 날에, 방주가 만들어지는 동안에 하나님께서 참고 기다리셨는데도 불순종했던 옥에 있는 영들에게 에녹이 가서 전파한 것은 이 영 안에서 한 것이다.”⑨라고 번역하였다. 이러한 번역에 영향을 준 하리스(J. Rendel Harris)는 이 구절의 초반부의 ἐν ᾧ καὶ τοίς…가 본래는 καὶ와 τοίς 사이에 Ἐνώχ이 들어 있었는데 옮겨 쓰는 과정에서 탈락되었으므로 다시 원 위치에 삽입해야 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⑩
그러나 켈리(J. N. D. Kelly)는 “에녹이라는 고유 명사가 중자탈락(haplograph: 예를 들면 philology를 philogy로 쓰는 것. 비슷한 단어․행의 탈락)에 해당된다는 가정에 따라 이(Ἐνώχ)를 삽입해야 한다는 주장은 지지할 수 없는 억측이라고 생각된다. 하리스(J. Rendel Harris)에 의해 널리 보급된 이 주장은 저명한 여러 학자들이 확신을 가졌지만, 어떤 사본도 이를 지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문을 좀더 충분히 이해한다면 이러한 주장은 전혀 불필요한 것으로 보일 것이다.”라고 비판하고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 “Jerome, Ambrose, Augustine, Bede, Aquinas, Beza, Hammond, De Lyra”(in 이상근), H. Alford, A. Clarke. B. C. Chapman, A. Barnes, “Wohlenberg”(in A. T. Robertson), A. T. Robertson, M. Bentley, “Doddridge, Macknight, Scott”(in S. W. Paine), S. W. Paine.
9) in W. Barclay와 A. M. Hunter.
10) in J. N. D. Kelly와 W. Barclay.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ㅡ
보우예(Bowyer)는 ἐν ᾧ καὶ를 Ενωχ의 오기라고 하는 데,⑪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
(3) 이 시기는 십자가와 부활 사이이며, 그리스도께서 육체를 무덤에 두신 채, 영으로 가서 옥에 있는 영들에게 전도하셨다. 이 경우에 옥에 있는 영들에 대해서는 ① 옥에 있는 영들의 대표인 노아 시대의 불신자들이라는 설,⑫ ② 타락한 천사들이라는 설(“Spitta”,⑬ “Selwyn”,⑭ B. Reicke), ③ 구약성경에 나오는바 메시아를 대망했던 경건한 성도들이라는 설,⑮ ④ 복음을 듣지 못하고 죽은 모든 영들이라는 설(Hermas, Clement of Alexandria,⑯ W. Barclay) 등이 있다.
이러한 설들을 지지할 수 없는 이유는 18절의 끝 부분에 대한 해석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 이미 죽은 자들에게 회개와 구원의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은 성경의 교훈이 아니다. 성육신 이전의 사람들에게도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믿어 구원받을 기회는 얼마든지 있었다(행 17:23-, 롬 4:1-25, 9:14-29, 엡 1:3-4, 갈 3:6-9, 15-22. 그리고 구약성경에는 하나님이 구원자로 묘사된다. 특히, 요나서를 보라).
(4) 이 시기는 오순절 이후이며, 영 곧 성령께서 사도들을 통하여 유대인들에게 전도하셨다(Socinus, Grotius).⑰ 이 설은 주장하는 시기와 전도 수단 그리고 전도 대상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없고, 또 20절과도 조화되지 않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
(5)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신 상태에서 타락한 천사들에게 자신의 승리를 선포하셨다(E. A. Blum). 이 견해에 의하면, 타락한 천사들과 20절의 노아 시대에 순종치 않았던 자들을 동일시해야 하는데(실제로 그 견해를 피력한 E. A. Blum은 동일시한다.), 불순종하다가 죽은 자들이 타락한 천사들과 동일하다는 성경의 근거는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 in 이상근.
12) “Wilmering 등 카톨릭 학자들, Luther”(in 이상근), C. Bigg, “J. P. Lange”(in S. W. Paine), C. Erdman, C. S. Ball.
13) in 이상근.
14) in A. M. Hunter.
15) J. Calvin, “Origen, Justin Martyr, Tertullian”(in 이상근).
16) in C. Bigg.
17) in 이상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영체를 입으시고 내려가 불신앙 때문에 죽은 후에 유수(幽囚)의 고통을 받고 있는 영을 향하여 죄 사함의 복음을 전하셨다(黑崎幸吉). 이 견해를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로, (2)설을 비판한 내용 중에서 18절의 끝 부분에 대한 해석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내용을 들 수 있다.
(7) 그리스도께서 부활 승천하신 그 자체가 지옥에 있는 영들에 대한 개선 선포이다.⑱ 이 견해는 20절과 잘 조화되지 않고, 또 개선 선포로 해석한 것은 비약이라 할 수 있다.
(8) 그리스도께서 몸이 무덤에 있는 동안에 성령에 의해 지옥에 있는 천사들에게 전도하였다(F. J. Dake). 이미 지옥에 떨어진 천사들에게 다시금 구원의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은 신빙성이 없다.
(9)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노아 시대에 불순종했던 자들의 영들(참조: 히 12:23)과 타락한 천사들(창 6장)에게 설교하였다(W. Schrage, A. M. Hunter).⑲ 이 견해를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로 (6)설과 (8)설을 비판한 내용을 들 수 있다.
(10)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구로서 알렸다(R. C. H. Lenski). 이 견해는 20절과 잘 조화되지 않는다.
(11) 그리스도의 몸이 무덤에서 일어나기 전에 부활한 인간의 영으로, 마지막 심판 날을 기다리고 있는 옥에 있는 악한 영들(벧후 2:4-5, 유 6)에게 가서, 죽음과 악한 영들의 악행에 지배당한 사람들의 결과에 대한 자신의 승리를 선언하셨다(A. M. Stibbs). 이 견해는 18절의 끝 부분에 대한 해석과 승리의 선언이라는 해석이 비약이라는 점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
(12)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타락한 천사들(창 6장)에게 자신의 승리를 선언하셨다(J. N. D. Kelly). 이 견해는 20절과도 조화되지 않고, 또 승리 선언이라는 해석도 비약이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
이제까지의 비판 내용들과 19절 첫머리의 ἐν ᾧ(개역 한글판 성경은 “영으로”로 번역함.)가 18절 마지막에 있는 “영으로”(성령으로: 18절의 주석을 보라.)를 선행사로 취하는 관계 대명사라는 점과 그리스도의 구원 행위를 다루고 있다는 점, 그리고 20절을 보아 많은 학자들의 견해인 (1)설을 취해야 할 것이다.
베드로의 취지는 인간을 하나님 앞으로 인도하시기 위해 십자가에 달려 운명하셨다가 다시 사신 그리스도께서, 또한 노아 시대에도 성령으로 노아를 통해 사람들에게 전도하셨다는 것이다(참조: 예언자들, 특히 요나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8) “Herman Bavinck, Greijdanus”(in 박윤선), 박윤선.
19 근거가 되는 배경에 대해, 슈라게(W. Schrage)는 “에티오피아 에녹서 15-21장과 유딧서 6장 등등에 따르면 이 타락한 천사들의 타락과 대홍수는 일반적으로 결부되어 나오며 거의 동시적인 사건으로 간주되었다(참조: äth. Hen. 106, 14-15, 지혜 14:6, 벧후 2:4-5).…이것은 에티오피아 에녹서 6-16장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녹이 설교를 하기 위해 지하의 감옥에 내려가 타락한 천사들에게 구원을 선포하는 대신에 어떠한 용서와 평화도 기대하지 말라는 사신을 전달했다는 사건과 비견될 수 있다(12:5, 16:4).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출처: 최세창, 야고보서․베드로전후서(서울: 글벗사, 2001, 3판 1쇄), pp. 450-454.
필자의 사이트 newrema.com(T. 426-3051)의 저서: 신약 주석(마~계, 1-15권)/ 설교집 28권/ Salvation Before Jesus Came/ 예수 탄생 이전의 구원/ 난해 성구 사전 I, II권/ 바울의 인간 이해/ 바울의 열세 서신/ 다수의 논문들/ 우린 신유의 도구/ 눈솔 인터넷 선교/ 영성의 나눔 1, 2, 3, 4권/ 영성을 위한 한 쪽/ 눈솔 예화집 I, II. (편저)/ 웃기는 이야기(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