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41회 아. 일곱째 인을 떼시는 어린양(8:1)

최세창
  • 1160
  • 2021-01-16 01:38:16
첫 번째 삽입 광경(7:1-17)에 대한 기록을 마친 요한은, 이제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께서 마지막 일곱째 인을 떼시는 것에 대해, 【1】[일곱째 인을 떼실 때에 하늘이 반 시 동안쯤 고요하더니]로 시작한다.
[일곱째 인을 떼실 때에]는 6:1의 주석을 보라.
앞의 여섯째 인까지는 떼실 때마다 재앙이 동반된 것과 달리, 이 [일곱째 인을 떼실 때에]는 직접적인 재앙이 동반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더 심한 재앙을 동반하는 일곱 나팔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반 시 동안쯤](ὡς ἡμίωρον)은 짧은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을 통해서 재앙의 긴박감과 극적인 면을 강조하려고 한 것 같다(R. H. Mounce). 여기서는 실제의 시간인 30분쯤이 아니라, 하나님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 시 동안쯤 고요하더니]에 대해 (1) 예루살렘 멸망 당시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설(Maurace),① (2) 초대 교회의 박해 시대(312-337년)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설(King),② (3) 395년 이후의 중세기의 암흑 시대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설(Elliott),③ (4) 천년 왕국 시대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설(H. Kraft, “Lange”④), (5) 그리스도인들에게 잠잠하라고 명령한 율리안(Julian)의 칙령을 가리키는 것이라는 설(De Lyra),⑤ (6) 그리스도인의 대적자들의 함구 시대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설(Hengstenberg),⑥ (7) 잠깐 동안의 하나님의 계시의 중단을 가리키는 것이라는 설(H. W. S wete),⑦ (8) 앞으로 나올(3, 4절) 기도를 위한 정숙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설(R. H. Charles, 박윤선), (9) 세상 종말에 일어날 일을 앞두고 있을 수밖에 없는 최대의 긴장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설(Ringnalda),⑧ (10) 죄인에 대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주석서와 주해서에서 인용할 경우에는 저자의 이름만 밝혔음.
1) in 김철손, 요한계시록.
2) 상동.
3) 상동.
4) 상동.
5) 상동.
6) 상동.
7) in 박윤선.
8) in 박윤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하나님의 은인적(隱忍的) 긍휼(矜恤)의 상징이라는 설(박윤선), (11) 창조적 침묵(창 1:2)에 대해서 여기서는 종말 때의 침묵이라고 하는 설(H. Kraft), (12) 최종적 천재지변에 대한 모든 피조물의 침묵이라는 설(Ebrard),⑨ (13) 이미 천국에 들어간 구원받은 자들의 정숙함이라는 설(Dsterdieck),⑩ (14) 성도들이 장차 누릴 영원한 안식, 또는 영생의 평화의 상징이라는 설(A. Plummer, “Victorinus”⑪), (15) 안식일의 휴식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설(A. Johnson, “Scroggie”⑫), (16) 이스라엘 곧 고난당하는 하나님의 백성의 찬양을 듣기 위한 침묵이라는 설(M. Rist, R. H. Charles, 이상근), (17) 일곱 천사들의 준비 기간의 침묵이라는 설(R. H. Mounce), (18) 세상에 임하게 될 하나님의 심판의 관점에서 하늘의 천사들의 가슴 조이는 불안의 태도를 표현하는 것이라는 설(G. E. Ladd, W. Hendriksen), (19) 대주재를 둘러싸고 있는 자들이 대주재께서 더 펼치시고 지시하실 큰 일들을 기대하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설(J. Wesley), (20) 핍박을 당하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기도와 절규를 듣기 위한 침묵(6:10)이라는 설(“Beckwith”,⑬ W. Barclay), (21) 보다 더 격렬하고 광범위한 재앙을 동반하는 일곱 나팔의 진노가 임하기 전의 긴장감과 경외심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설⑭ 등이 있다.
딱히 어느 설을 옳다고 할 수 없으나, 다음 구절 이하를 미루어 (20)설과 (21)설을 종합해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 in 김철손, 요한계시록.
10) 상동.
11) in 박윤선.
12) in 강병도 편.
13) 상동.
14) C. L. Morris, “Greijdanus”(in 박윤선), R. H. Mounce, W. Barclay, A. Johnson, G. E. Ladd, 黑崎幸吉, 이상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출처: 최세창, 요한계시록(서울: 글벗사, 2005, 1판 1쇄), pp. 211-213.

필자의 사이트 newrema.com(T. 426-3051)의 저서: 신약 주석(마~계, 1-15권)/ 설교집 28권/ Salvation Before Jesus Came/ 예수 탄생 이전의 구원/ 난해 성구 사전 I, II권/ 바울의 인간 이해/ 바울의 열세 서신/ 다수의 논문들/ 우린 신유의 도구/ 눈솔 인터넷 선교/ 영성의 나눔 1, 2, 3, 4권/ 영성을 위한 한 쪽/ 웃기는 이야기(편저)/ 눈솔 예화집 I, II. (편저)

이전 민관기 2021-01-15 주인없이 혼란한 중부연회(글 수정중 끝)
다음 김용식 2021-01-16 이현석목사의 답변을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