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쿼바디스, 미 연방하원? 클리버의원 (UMC안수목사)의 미친 기도
조묘희
- 1458
- 2021-01-18 18:05:55
클리버의원 (UMC안수목사)의 미친 기도
김택규(UMC원로목사, 국제타임스, 편집위원) ㅡ E- mail 수신
지난 3일, 새로 당선된 의원들로 구성된, 제 117차 미연방 하원이 새로 개원되었다. 연방 의회는 전통적으로 회의를 시작할 때마다 성직자의 ‘개회기도’(opening prayer)로 개회된다. 의회가 개회할 때 기도로 시작하는 것은, 그 옛날 ’제1차 대륙회의‘ 때부터 내려오는 전통이다.
그런데 그날 개회기도는 낸시 펠로시의장의 지시로 미주리 출신, 아프리칸계인 이마누엘 클리버(Emanuel Cleaver)의원이 했다.
미 상하원에는 공식적으로 ‘의회 목사’(chaplain)가 각기 재직하고 있다. 목사들 속에서 흔히 미국에서 가장 최고의 목사 잡(job)은 바로 ‘의회목사‘라는 웃으개소리도 있을 정도로 의회 목사는 지위나 대우가 좋다. ‘의회 목사’의 업무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의회가 개회될 때 항상 ‘의회와 의원들을 위하여, 국가를 위하여’ ‘개회기도’를 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날 낸시 펠로시의장은 ’의회 원목‘을 제처두고 왜 한 의원에게 개회기도를 시켰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다.
물론 클리버의원이'목사‘출신인건 맞다. 그는 캔사스에서 Saint Paul신학교를 졸업하고, UMC(연합감리교회) 목사로 활동했었다. 하지만 그는 현재 ’목회자‘가 아니고 정치인이다. 1979년부터 ‘91년까지 캔사스 시의원 및 시장을 했고, 2005년부터는 현재까지 계속 하원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현직 의원이며 정치인이다. 의회의 개회기도를 의회소속 ’원목‘에게 시키지 않는다면 국가에서 왜 많은 예산을 드려 의회 원목실을 존속시키고 있는가?
문제는 이날 클리버의원이 행한 특출한 기도 내용이 문제가 되어 논쟁거리로 대두되고 있다는 것이다. 클리버의원은 2분간 짧은 기도를 했는데 그의 기도문은 이렇게 끝을 맺고 있다. “우리는 이것을 일신교의 하나님, 브라만 그리고 많은 다른 신앙에 의해 많은 다른 이름으로 알려진 하느님의 이름으로 구합니다.
에이멘 그리고 에이 우먼. ( ...We ask it in the name of the monotheistic God, Brahman and 'God' known by many names by many different faiths. Amen and a woman .)
클리버의원의 기도에는 크게 두가지가 문제화되고 있다. 기독교 기도의 끝에는 항상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로 끝나는 것이 통례이다. 근래에 와서는 종교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국가의 공적(公的) 기도에서는 인도자가 대체로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을 생략하는 경우도 많다. 과거 빌리그래이엄목사는 대통령 취임식에서 여러번 기도를 했었는데 그도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을 생략한 적이 많았다. 오바마 1 기 취임식때는 유명한 쌔들백교회의 릭 워런목사가 기도를 했었는데, 이 문제가 언론에서 쟁점화되자, 그는 ‘주의 기도’를 암송함으로 기도를 마치기도 했다.
그런데 클리버의원은 ‘일신교의 하나님, 힌두교의 신 브라만 그리고 다신교적 ’하느님‘으로 불리는 모든 신의 이름으로’ 기도를 행한 것이다. 그것은 ‘최초에 청교도에 의해 기독교 신앙을 기초로 해서 세워진 미국의 근본정신 및 전통에 반(反)하는 행위다’ 라고 하기전에, UMC목사로서 그런 기도를 할수 있는가하는 것이다. 특히 인도의 신 ‘브라만’의 이름을 쳐든것은 또 극히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그러면 왜 불교의 붓다, 이슬람의 마호멧, 일본의 신 ‘아마테라스’ 등의 이름은 거명하지 않은것인가?
물론 클리버의원이 ’목사‘출신인건 맞다. 그는 캔사스에서 Saint Paul 신학교를 졸업하고, UMC(연합감리교회) 목사로 활동했었다. 하지만 그는 현재 ’목회자‘가 아니고 정치인이다. 1979년부터 ‘91년까지 캔사스 시의원 및 시장을 했고 클리버의원은 신학대 출신이므로, 그말의 본 어원이 이스라엘인들이 쓰는 히브리어에 근원을 두는 어휘며, 남,녀 성과는 아무 연관이 없는 단어라는 것을 모를리없다. 정치인들이 ‘기도’를 자기의 정치적 주장을 펼치는 기회로 이용해서는 안되는 것 아닌가?
낸시 펠로시의장은 새 하원에서 남녀 구별적 언어 즉 아버지, 어머니, (father, mother), 아들 ,딸 (son, daughter)등 모든 성별(性別)적 용어를 쓰지못하도록 했다는 데, 그것과 클리버의원의 기도내용에 어떤 정치적 연관이 있는것인가?
UMC, 미쥬리 연회는 이런 '비 기독교적 신앙‘적 행태를 보인 클리버의원의 ’안수목사 지위‘(ordained minister status)를 ’장정‘에 의해 즉시 취소시켜야 할 것이다. (내가 미주리 연회의 담당자에게 이 문제에 관해 전화를 했으나 아직 어떤 답을 받지 못했다) ㅡ 감신56동기의 E-mail 수신 ㅡ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