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메서드】시각장애(視覺障碍)
함창석
- 1098
- 2021-03-06 03:34:04
視覺障碍
함창석
고수는 눈동자가 없는 장님으로
남의 기색을 잘 살피지 못하다.
瞽자는 뜻을 나타내는 눈목, 目=罒눈, 보다 부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 鼓가 합하여 이루어지다.
鼓는 타악기의 하나
북이나 징을 쳐서 알려 주던 시간이고
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부피의 단위이다.
支(지 대나무가지)와 壴(주)의 합자이다.
대나무가지로 북을 친다는 뜻이다.
후에 직접 북을 뜻하게 되다.
鼓자에서 壴자는 장식이 달린 북을
받침대에 올려놓은 모습을 그린 것으로
‘악기이름’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북을 그린 壴자에 支자가 더해진 鼓자는
북을 두드리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전시에는 북이 아군의 사기를 높이거나
명령을 내리는 용도로 사용됐다.
그래서 ‘북’이나 ‘격려하다’
‘악기’와 같은 다양한 뜻을 갖고 있다.
어른, 늙은이, 쌀을 씻는 소리로
宀(면집) + 火(화 불) + 又(우 손)의 합자이다.
집안에서 불을 맡고 있는 사람이란 뜻이다.
저 하늘이 내린 임금, 순의 아버지는 고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