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어부의 그물
함창석
- 1046
- 2021-08-05 16:29:52
성경: 누가복음 5장 1-11절
설교: 사람 낚는 어부
예수님이 게네사렛 호숫가에서 말씀하실 때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밀려왔다. 그때 호숫가에는 배 두 척이 있었고 어부들은 배에서 내려 그물을 씻고 있었다. 예수님은 그것을 보시고 그 중 하나인 시몬의 배에 오르셨다. 그리고 그에게 배를 육지에서 조금 떼어 놓게 하시고 앉아서 군중을 가르치셨다. 예수님이 말씀을 마치신 후 시몬에게 "깊은 데로 가 그물을 쳐서 고기를 잡아라." 하시자 시몬은 "선생님, 우리가 밤새도록 애써 봤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선생님이 말씀하시니 한 번 더 그물을 쳐 보겠습니다" 하고 그물을 쳤더니 고기가 너무 많이 잡혀 그물이 찢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그들은 다른 배에 있는 동료들에게 도와 달라고 손짓하였다. 그들이 와서 함께 두 배에 고기를 가득 채우자 배가 가라앉을 지경이었다. 시몬 베드로가 이것을 보고 예수님 앞에 꿇어 엎드려 "주님, 저는 죄인입니다. 제발 저를 떠나 주십시오." 하였다. 이것은 자기뿐만 아니라 자기와 함께 있던 모든 사람들이 고기 잡힌 것을 보고 놀라고 또 그의 동업자들인 세베대의 두 아들 야고보와 요한도 놀랐기 때문이었다. 이때 예수님이 시몬에게 "두려워하지 말라. 이제부터 너는 사람을 낚을 것이다" 하자 그들은 배를 육지에 대고 모든 것을 버려 둔 채 예수님을 따라갔다.(눅 5:1-11)
그물
그물은 고기를 잡거나 덫을 놓기 위하여 그물이 사용되었는데, 주로 야자 섬유, 아마 섬유, 파피루스 등으로 만들어졌다. 성경에서는 그물(덫)과 구덩이(함정)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아주 많다(히. '레쉐트'; 예. 욥 18:8-10; 시 9:15; 35:7-8; 57:6; 겔 19:8). 이들은 모두 예리한 동물들의 눈을 속여서 사냥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의 일종이다. 함정(구덩이)은 사냥 동물의 자취를 찾아서 그 곳에 땅을 판 것을 가리키며, 이때에 그물을 그 구덩이 위에 펼쳐서 덮어 놓고 풀이나 짚으로 위장하였는데, 이를 덫이라고 부른 듯하다. 이때에 사냥감이 자신의 길을 가다가 그물에 걸리면 그 무게에 의하여 함정으로 빠지면서 그물(히. '미크마르')에 포획되었다. 또한 동물들을 잡목들로 위장해놓은 그물(덫)로 몰아넣어 잡기도 하였다. 이때 사냥감이 헤어나기 위해 발버둥 치면 칠수록 그들은 더욱 얽혀 들어갈 뿐이었다. 다른 경우는 사냥꾼이 그물을 얇게 흙으로 덮어두고 기다리다가 동물들이 방심하고 그 곳으로 들어올 때 잡아당겨서 포획하기도 하였다(시 140:5; 잠 29:5; 시 51:20; 참조. 시 141:10; 잠 29:5; 시 51:20; 참조. 시 141:10, 히. '마크모르'). 이스라엘 백성들은 새들도 그물을 사용하여 잡았다(히. '메소다'; 전 9:12; 잠 1:17). 이집트 사람들도 물새들을 잡기 위해 '그물 비슷한 것'(claptrap)을 사용하였다(참조. 호 7:12; 히. '레쉐트'). 다른 방법으로는 일종의 투망을 사냥물 위에다가 던지거나, 떨어뜨려서 잡기도 하였다(겔 12:13). 고대 세계에 있어서 그물의 가장 보편적인 사용은 역시 물고기를 잡는 데 이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히. '헤렘'; 합 1:15-17; 겔 26:5, 14; 47:10; 히. '미크모렛', 사 19:8). 직경 3-5m의 원추형의 둥근 그물이 물속에 던져졌었다. 그물이 물에 가라앉도록 그물 주위에 추를 달았으며, 그 그물(헬. '알피블레스트론' 마 4:18; 막 1:16; 헬. '딬튀온', 마 4:20-21; 눅 5:2-6; 요 21:6-11) 아래에 있는 물고기들은 다 잡혔다. 또한 어부들은 큰 예인망이나 후릿 그물을(헬. '사게네' 마 13:47-50) 사용하였는데, 그 크기는 너비 5m, 길이 약 200-250m의 큰 그물들이었다. 두 척의 배에서 그물을 쳐 그 그물에 잡힌 물고기와 함께 반원형의 모양으로 육지로 끌어올렸다. 성경에서 '그물'은 먼저 비유적인 의미로 자주 등장한다(예. 욥 19:6; 시 25:12). 이것은 주로 '그물에 걸린다'는 가능법으로 상징화되었다(시 104:6 한글개역 성경은 “옷”으로 번역됨; 전 7:26; 호 7:12). 특히 몰래 친 그물이 많이 언급된다(시 31:4; 35:7-8; 잠 1:17). 물고기는 잡는 그물들, 특별히 예인망의 경우에는 그물을 널어 말릴 수 있는 넓은 평지를 필요로 하였다. 그래서 에스겔 선시자의 예언에서는 두로의 멸망의 범위가 그물 말리는 곳처럼 넓을 것을 비유로 말하고 있다(겔 26:5, 14; 47:10). 또한 예수께서는 천국 비유에서, 그물로 많은 물고기를 무작위로 잡아들이는 것과 하나님 나라의 추수를 비유하셨다. 그래서 필요한 고기와 불필요한 고기를 골라내는 것처럼 하나님 나라가 완성될 때에는 사람들을 분류하는 작업이 있을 것이라고 비유하셨다(마 13:47-50).
1만년전경 순다랜드에는 삼베 즉 아마, 대마 등 마를 심었다. 껍질을 벗겨 이어 가지고 그물을 짰다. 더 발전한 것이 삼베 실로 짠 옷감이다. 남해 동삼동 패총에는 낚시, 그물 등 어구들이 발굴되었다. 8천년전경에는 창년 배를 비롯하여 고래잡이가 성행하였다. 그 흔적은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