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서드】경배찬송(敬拜讚頌)

함창석
  • 1154
  • 2021-08-14 23:09:56
송(頌)Song

頌자는 뜻을 나타내는 머리혈(頁 머리)部와 음을 나타내는 동시에 모습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公(공→송)으로 이루어진다. 나중에 본래의 뜻이 쇠퇴되고, 주로 奬(권장하다ㆍ칭찬하다)의 뜻으로 빌어 쓰였다. 公자는 물건을 반으로 나눈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공→송’으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頌자는 본래 사람의 ‘얼굴’이나 ‘용모’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아직도 ‘얼굴’이나 ‘용모’라는 뜻이 남아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금의 頌자는 사람을 찬양한다는 의미에서 ‘칭송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찬송(讚頌)

하나님께 감사와 기쁨의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hymn, 시 118:14). 혹은 하나님을 예배하거나 그분께 영광을 돌리기 위해 부르는 거룩한 노래나 연주. ‘찬양’(讚揚), ‘찬미’(讚美) 등 다양하게 표현된다. 구약 시대는 주로 하나님의 창조 사역이나 탁월한 권능, 이스라엘을 번영케 하시고 선민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사역 등을 주제로 했으며, 신약 시대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구원 사역이나 부활의 능력, 개인과 교회를 통해 역동적으로 전개, 완성되어 가는 하나님 나라의 영광 등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누가 찬송을 하느냐 하면, 주의 성도들(시 30:4)과 여호와의 종들(시 113:1), 그리고 성도의 심령 속에 있는 것들(시 103:1)은 물론, 온 땅(시 66:4)과 모든 민족(시 67:3; 롬 15:11), 천사들(느 9:6; 시 103:20-21), 심지어 해와 달과 별들(시 148:3), 하늘의 장로들과 네 생물들(계 4:8, 10-11)이 찬송한다. 결국 호흡이 있는 자 모두(시 150:6)와 모든 만물(계 5:13)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다. 한편, 성경에 소개되고 있는 대표적인 찬송시들을 살펴보면, 구약성경에는 찬송시를 집대성한 시편을 근간으로, 모세의 노래(출 15:1-18; 신 32:1-43), 드보라의 노래(삿 5장), 한나의 노래(삼상 2:1-10), 다윗의 승전가(삼하 22장), 이사야의 찬송(사 12, 25, 26장), 히스기야의 찬송(사 38:9-20) 등이 있고, 신약성경에는 마리아의 찬가(눅 1:46-55), 엘리사벳의 찬송(눅 1:42-45), 사가랴의 찬가(눅 1:68-79) 등이 있다.

633년 톨레도 종교회의(the Council of Toledo)에서는 '찬송은 노래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Praising God in song)이라 정의하였다. 히포의 주교였던 어거스틴(Augustine, 354-430년) 역시 '찬송이란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이다. 만일 노래하고 하나님을 찬양하지 아니하면 그것은 찬송이 아니다. 그러므로 찬송은 다음의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한다. 첫째는 노래하는 것과 둘째는 찬양하는 것과 셋째는 하나님을 노래하며 찬양하는 것이다'고 했다. 어거스틴은 그의 주석 시편 148편 14절에서 찬송(찬미)의 본질을 세 가지로 언급했다. ① 찬송은 하나님께 노래로 불러야 한다. ② 찬송은 하나님을 찬양해야 한다. ③ 찬송은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 영국의 설교가요 시인이며 언어학자인 트렌치(Trench)는 '찬송은 종교적인 노래 특히 그리스도인들이 부르는 노래'라고 했다. 웹스터(Webster) 사전에는 찬송에 대하여 정의하기를 '찬송은 하나님을 찬양 또는 존경하는 노래'(Hymn is a song in praise or honor of God)라고 했다. 결국, 찬송이야말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최상의 방법이요, 길임을 알 수 있다.

이전 조묘희 2021-08-14 < 자유게시판 > 활성화를 위한 의견
다음 오용석 2021-08-15 부정 부정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