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헛간
함창석
- 1412
- 2021-12-09 04:35:53
함창석
칠십 년대 약관 스물넷 시절인데
벽지학교에서는 교사로
교인으로서는 복음전도자로
밤낮 일을 했다
거처하는 사택이라야
공청에 가까운 수준이라
쥐들과 함께 살았다
단풍진 어느 늦은 가을날인데
이십 여리 먼 예배당을 다녀오다
함께 집으로 돌아오는 길
환갑 넘은 여 권사님이
지난 세월 살아온 얘기를 하셨다
북간도에서 살았는데
열 살이 갓 넘어
가난이 원수라고 하면서
보리 쌀 한 가마니에 팔려왔으나
강산이 다섯 번이나 변하고
지금 이밥이라도 먹고 살지만
어머니 생각이 많이 난다며
서른 살 노총각한테 다시 팔려와
이장을 열다섯에 낳았다며
달거리도 있기 전
헛간서 그만 첫 경험을 하였다고
진솔하게 푸념을 하셨다
Sandol Method
헛간 같은 초막은 짚이나 나뭇가지 등으로 지붕을 이은 작은 임시 처소이다. 성경에서는 초막절을 기념하는 임시 거처로, 군인들의 간이 숙소로, 짐승의 우릿간, 과수원의 망대 등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햇볕을 피하기 위한 임시 거처로 오두막을 짓기도 했다. 상징적으로 하나님의 백성의 자유와 해방을 나타내며, 환난 중에 주어질 하나님의 비밀하고 절대적인 보호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악인의 불안전함이나 가치 없고 쉽게 무너질 것을 뜻하기도 한다.
인신매매는 사람을 가축처럼 다른 사람의 소유로 두어 사고 파는 행위이다. 가장 비인도적인 범죄 행위로서 오늘날에는 세계 각국이 형법 등으로 엄격히 금지하여 적발 시 적발국의 법령에 따라 형사 처벌할 수 있는 인신매매가 신석기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노예매매 등으로 세계 각국에서 합법적으로 행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 세계 각국이 인신매매를 불법화하여 엄금하고 있다. 그럼에도 완전히 근절된 것은 아니며,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의 인신매매가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조선에서는 1894년 갑오개혁으로 불법화하였으며, 대한민국 건국 후에 헌법에서 이를 확정하였다. 최근에도 인신매매를 통해 장애인을 노예로 사용한다는 보도가 있다.
(섬 '염전 노예'…… 편지 한 통으로 극적 탈출, 2014.)
"여자 공부시키는 것은 독약 먹이는 것과 같다"는 말은 무엇을 상징하고 있는 것일까? 지난 수 세기 동안 아프가니스탄 여성의 권리는 뒷걸음질 쳐 왔다. 1920년대 근대 터키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아타튀르크가 주도하던 근대화 개혁에 힘입어,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아마눌라 왕도 전통적인 의사 결정 기구인 로야 지르가에 몇 가지 개혁안을 제시했다. 로야 지르가는 아프가니스탄의 수많은 종족·종파·정당·사회 지도자들을 망라한 일종의 확대 원로회의다. 가장 획기적인 개혁안은 여성의 얼굴을 가리는 베일을 벗기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자의 인권은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