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巨大와 矮小
함창석
- 1713
- 2022-02-16 23:38:11
함창석
이 땅에 피그미족처럼
크기가 네 자정도이니
아주 작은이들이 있어
아프리카 고대유적 중
천장이 다섯 자정도고
하나 성경 네피림처럼
크기가 여덟 척정도니
대단히 큰이들이 있어
아메리카 고대유적 중
발자국이 두자 크기며
현 시대를 둘러보아도
공존 키다리 난장이라
그 전해오는 설화로서
고고학에 흥미 가지고
여기 저기 기웃거리지
우리 배달겨레는 중간
여섯 척에도 미달이니
오랫동안 환경 속에서
닳고도 닳은 유형인가
내 유전이 자랑스럽다
Sandol Method
거인은 키와 몸집이 크고 힘이 센 사람. 성경에서는 ‘네피림’(창 6:4), ‘르바임’(신 2:11, 20) 등으로 불리는 거인 족속이 나온다. 이들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을 정탐할 때 가나안에 거주하고 있었다(민 13:33). 한편 ‘거인’을 뜻하는 히브리어 ‘깁볼’은 ‘용사’로 번역되었다(욥 16:14). 또 ‘장대한 자’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라파’인데 이 단어의 복수형이 ‘르바임’이다. 이들은 이스라엘이 모압을 통과해 가나안에 들어가려고 했을 때 만난 거인 족속이다(신 2:11, 20). 특히 르바임 종족 중 바산 왕 옥은 9규빗(약 410㎝)이나 되는 철로 만든 침대를 사용할 정도로 그 키가 장대하였다(수 12:4; 13:12). 예루살렘 남서쪽에 있는 르바임 골짜기는 거인들의 땅으로 알려졌는데(삼하 5:18; 사 17:5), 블레셋 가드 출신의 장군 골리앗은 유명한 거인이다(삼상 17장). 개역한글판에서는 ‘대장부’(민 13:33).(가스펠서브, 거인, 라이프성경사전, 2006)
소인은 군자(君子)의 반대어로 신분이 낮은 자, 소자, 하인, 노예를 가리키는 말이다. 논어 양화편에는 <여자와 소인은 키우기 어렵다>라고 하였으며 재덕이 겸비되어 있는 <군자>에 대해서, 품성이 천한 사람, 욕심이 많고 성격이 비뚤어진 인물, 즉 소인배를 말한다.(소인, 종교학대사전, 1998)
소인은 나이가 어린 이, 키가 작은 이, 무식하고 신분이 낮은 이, 귀한 윗사람에 대한 자기의 겸칭, 도량이 좁고, 덕이 없으며, 간사한 이 이다. 대인ㆍ군자의 반대개념이다. 공익을 불고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사람이며, 인의를 모르고 재리만 아는 사람이 소인이다. 역경에 “소인은 불인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불의를 두려워하지 않고, 이익을 보지 않으면 일을 하지 않는다.”(소인, 원불교대사전)
이 땅에는 전통적으로 왜인이라 하여 멸시하고 깔보는 성향을 드러내곤 한다. 어쩌면 소인배를 경멸하고 큰사람을 추구하는 성향이 우리민족에게 있는 것은 아닌가 한다. 우리는 배달겨레라고도 하고 고조선 강역이 동서 2만 리, 남북 5만 리라고 하며 홍익인간을 주창하고 있는 민족이기도 하다. 어쩌면 어로, 농경, 유목을 아우르는 삼태극의 혼이 깃들어 있기 때문은 아닐까? 생각하게도 되는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문명을 일으킨 족속들은 거시적인 안목과 미시적인 안목을 동시에 추구하고 완성을 하였다. 예를 든다면 천문학은 거시적일 것이요, 요즘 뜨고 있는 반도체는 미시적일 것이다. 다뉴세문경이나 고층빌딩을 설계하고 건축하는 우리야말로 우수한 유전자를 이어받은 족속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