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각저총벽화
함창석
- 1999
- 2022-02-21 19:11:38
함창석
뽕나무는 황금열매를 달고 있다
아홉 개씩이나 말이지
그 아래에는 씨름판이 벌어졌다
상투를 틀고 있었으며
어찌하여 고구려 지역 벽화에는
여러 새들도 그렸을까
환웅 단군 다스리던 강역인지라
임금님이 살던 부도다
Sandol Method
상잠은 뽕과 누에이다. 통상적으로 상잠은 누에나방의 애벌레을 말한다. 13개의 마디로 이루어졌으며 몸에는 검은 무늬가 있다. 알에서 나올 때에는 검은 털이 있다가 뒤에 털을 벗고 잿빛이 된다. 네 번 잠잘 때마다 꺼풀을 벗고 25여 일 동안 8cm 정도 자란 다음 실을 토하여 고치를 짓는다. 고치 안에서 번데기가 되었다가 다시 나방이 되어 나온다.
桑자는 누에를 기르는 데 쓰는 뽕나무의 모양을 본뜸이다. 桑자는 木(나무 목)자와 叒(땅이름 약)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뽕나무를 키워 누에를 치고 비단을 짜는 일은 예부터 농상이라 하여 농업과 함께 나라의 근본으로 삼았었다. 오래전부터 중시했던 산업이었기 때문인지 桑자는 갑골문에서도 볼 수 있는 글자이다. 갑골문에 나온 桑자는 나뭇잎이 뻗쳐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뽕잎을 강조한다. 소전에서는 가지가 사라지고 叒자와 木자가 결합한 형태로 바뀌었다. 이것은 누에에게 줄 뽕잎을 손으로 따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蠶자는 뜻을 나타내는 벌레훼(虫 뱀이 웅크린 모양, 벌레)部 2개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 朁(참→잠)이 합하여 이루어진다.
성경에는 세 종류의 뽕나무가 언급된다. ① 일명 무화과 뽕나무(sycamore-fig tree)로 불리는 낙엽 교목인데, 잎이 넓고 사람이 올라갈 만큼 키도 크며, 무화과 비슷한 열매가 맺힌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헬라어로는 ‘쉬카모레아’인데 ‘쉬콘’(무화과)과 ‘모론’(뽕나무)의 합성어로 ‘무화과 뽕나무’로 불린다. 성경의 뽕나무는 대부분 이 나무를 가리킨다. 팔레스타인에서는 서리가 내리지 않는 저지대에서 많이 자라는데, 세펠라 지역이 대표적 뽕나무 군락이다. 목재로도 사용되었다(사 9:10). 다윗 왕은 왕실 뽕나무를 경작하는 관리를 따로 두기도 하였다(대상 27:28). 선지자 아모스가 배양한 뽕나무(암 7:14)와, 삭개오가 예수님을 보기 위해 올라간 나무가 바로 이 뽕나무에 해당한다(눅 19:4). ② 큰 관목으로 우유 빛 수액을 분비하며 향기로운 유향을 채취할 수 있는 유향수(乳香樹)를 가리키는데, 발삼 나무(balsam tree)로 번역된다(삼하 5:23-24; 대상 14:14-15). ③ 믿음의 중요성과 위대한 능력을 묘사할 때 비유로 언급된 뽕나무인데(눅 17:6), 오늘날 일반적으로 뽕나무를 가리키는 수종으로 오디 열매가 맺힌다. 일명 ‘검은 뽕나무’(mulberry tree)라고 한다. 원어이해로 (쉬크마) - 헬라어로는 ‘쉬카모레아’(sukamoreva). 일명 무화과 뽕나무. (베카임) - 발삼 나무의 일종. (쉬카미노스) - 검은 뽕나무.(가스펠서브, 뽕나무, 라이프성경사전, 2006)
양잠은 누에를 사육하여 고치를 생산하는 일이다. 누에가 사육되기 시작한 연대와 장소는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처음 시작된 곳은 기후가 온난하고 뽕나무가 잘 자라는 아시아 중앙부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은 BC 770~BC 221년인 춘추전국시대까지에는 이미 화베이 지방에 퍼져 있었다. 그러나 당시 중국에서는 뽕나무·누에씨·명주를 나라 밖으로 반출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것이 인도·이란을 거쳐 유럽에 전해진 것은 BC 200년경으로 추정이 되고 있다. 《한서지리지》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양잠이 시작된 시기는 고조선 시대로 기록되어있고, 삼한과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양잠이 더욱 발전되고 장려되었다. 최근에는 노동력 부족으로 상당한 부분이 기계화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나, 오늘날까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양잠이 실시되었다. 먼저 누에씨는 지종이라 하여 자가제의 씨를 사용한다. 그것은 나이 먹은 고치를 골라 자연 부화시키고 교배시켜 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원지에 산란시킨 것이다. 그러나 자가제의 씨를 사용하기를 3년 연속하면 씨를 얻지 못하게 되거나, 또 한 번에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에는 다른 곳에서 종지를 사들여야 한다. 누에를 소규모로 사육할 때는 쟁반 같은 데 놓고 방에서 병풍 따위로 바람을 막아주는 정도였는데, 규모가 커지게 되자 방에 가마니를 깔고 선반을 설치하여 누에방을 만들게 되었다. 또 화로 대신 지로를 설치하게 되었다. 누에 사료에 대해서도 산뽕나무 잎이나 밭에 심은 뽕나무 잎을 따서 주던 시기가 길었다고 생각되지만 나중에는 뽕잎을 한장 한장 겹쳐서 작게 사각형으로 잘라서 그것을 채쳐서 개미누에에 주기도 하였다. 누에가 생장함에 따라 뽕잎도 큰 것을 주었는데, 전에는 뽕잎을 일일이 말려서 주었으므로 4령 잠 쯤 되면 일손이 많이 필요하였다고 한다.(양잠, 두산백과)
우리 중학교 시절에는 분기별로 학교에다 등록금을 냈다. 우리 집은 산촌지역인지라 농사라고 해야 다락 논에다 벼를 조금은 심었고 밭에는 옥수수, 감자, 콩, 팥을 심었다. 우리 어머니와 할머니는 봄이면 산에 다니시며 도라지, 더덕 등 산채를 캐어 팔았고 뽕잎이 피는 시기에는 양잠조합에서 누에씨를 받아다가 잠실에 누에고치를 쳤다. 그 돈으로 6,7,8월 2분기 중학교 등록금을 내주셨다. 가을이면 가을누에를 치고 12,1,2월 4분기 중학교 등록금을 내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