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김

함창석
  • 1472
  • 2022-07-12 18:32:41
섬김

함창석

공동체 안에는
섬김을 말들하고 있는데
서로가 해당이러니

식당에 모일 때
남을 섬긴다는 의미라면

수저를 놓거나
냅킨을 빼어 놓거나
물을 따라
컵을 건네는 것들이라고

예전으로 치라면
종살이가 연상 되었으나
발 씻기신 분도 있어

스승과 제자 사이라
모범을 보이심이 아닐까

교회를 세우고
구성원 간에 이루어져야
할 덕목으로
모두들 명심을 해야지

Sandol Method

섬김은 모시어 받들어주다. 힘써 거들어 주다. 경외하다. 원어에 따라 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할라크’ - ‘걷다’, ‘나아가다’는 뜻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좇아 하나님과 함께 걷는 것을 암시한다(창 24:40). ② ‘아바드’ - ‘노동하다’는 뜻으로, 주로 노역이나 조공을 바치는 행위를 말한다(창 14:4). ③ ‘아마드’ - ‘면전에 서다’는 뜻으로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하는 것을 말하는데, 종이 주인에게 극진히 봉사하고 수종드는 것을 가리킨다(렘 40:10). ④ ‘아바르’ - ‘봉사(수고)하다’, ‘(하나님을 위해) 일하다’, ‘경배하다’는 뜻이다(수 24:18). ⑤ ‘디아코노스’ - ‘디아코니스’(먼지 속에서 일함)에서 파생된 말로, 모래 먼지가 많은 팔레스타인 종들의 수고로움을 암시해준다(막 9:35). 이는 주님과 이웃을 ‘섬기는 자’의 마음 자세를 교훈해준다. ‘집사’(deacon)를 뜻하는 ‘디아코니아’는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⑥ ‘라트류오’ - 원뜻은 ‘고용되다’는 뜻으로 성경에서는 제사나 예배를 위해 하나님께 부름 받은 것을 가리킨다(히 9:14).(가스펠서브, 섬기다, 라이프성경사전, 2006)

봉사는 한 공동체(사회, 국가)나 이웃을 위해 자신의 이해를 돌보지 않고 노력이나 힘을 바쳐 친절히 보살펴 줌이다. 보상 없이 섬기거나 도와주는 행위이다. 구약에서는 자신이나 가족의 삶을 위한 수고나 육체적 노동(창 29:18,20), 성전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일(민 1:50) 등을, 신약에서는 교회에서 맡은 바 직무를 수행하거나 성도를 돕고 보살피는 행위를 가리킨다(행 1:25; 엡 4:12; 벧전 4:10). 참고로, 하나님을 향한 봉사(섬김)의 구체적 표현 가운데 하나가 바로 예배이다(빌 2:17; 3:3).(가스펠서브, 봉사, 교회용어사전: 교회 일상, 2013)

수종은 신복, 종이다. 성경에서는 단순한 노동이나 섬김의 행위를 가리키는 것(창 40:2, 4; 출 33:11; 왕상 1:4; 19:2; 왕하 6:15; 행 13:5) 이상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봉사, 헌신하는 거룩한 행위를 말한다(대상 9:13; 대하 8:14; 스 8:17; 마 8:15; 눅 4:39). 그런 점에서 오늘날 성도들은 모두가 하나님께 수종 드는 자라 할 수 있다.(가스펠서브, 수종, 라이프성경사전, 2006)

교회를 세우고 섬기며 보호하고 지키는 삶이야말로 진정한 섬김이다.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하는 베드로에게 ‘너의 그러한 고백 위에 교회를 세우리니 반위에 지은 집 같아 창수가 나고 비바람이 몰아쳐도 무너지지 않으리라.’ 말씀하셨다.

교회의 기능은 예수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가 신령한 연합체요 유기체로 존재하며, 맡겨진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요소이다. ① '예배':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를 깨닫고 사랑 안에서 하나님의 지도를 따르는 것을 말한다. ② '전도':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 세상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것을 말한다. ③ '교육': 예수를 구원자로 알고 받아들이도록 사람들을 인도하며, 교인들이 교회의 기능을 이행하도록 가르치고 훈련하는 것, 교인들이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게 돕는 것을 말한다. ④ '봉사': 하나님의 사랑을 사람들에게 나타내는 섬김의 행위를 말한다(요13:34-35; 요일4:7). 이는 사랑으로 사람의 필요에 응답하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일이다. 한편, 교회의 기능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보는 견해도 있다. '선교'(케리그마). 곧,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사역이다. '봉사'(디아코니아). 곧, 세파에 시달린 사람들에게 섬김과 나눔을 통해 정신적·육체적 상처를 치유해 주는 사역이다. '교제'(코이노니아). 곧, 성령 안에서 성도의 교제를 통해 진정한 그리스도의 사랑과 은혜로운 생활의 모습을 세상에 보여주는 사역이다.(가스펠서브, 교회의 기능, 교회용어사전: 행정 및 교육, 2013)

오늘날 사도신경으로 고백하는 정통교회가 시대적인 사명을 감당하며 위로는 창조주 하나님과 가까이는 우리의 이웃을 섬김으로 인간의 생명을 사랑하는 본을 보여야 할 것이다.

이전 박은영 2022-07-12 ‘외국인을 위한 예배한국어’ 강좌 안내드려요
다음 엄재규 2022-07-13 종교지도자 바리새인들의 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