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어진 마음
함창석
- 1651
- 2022-10-03 23:00:43
함창석
남과 나
이웃 사이로
최고의 선을 다함이
인자가 아닌지
인애가 아닌지
자애보다 숭고한 인이니
어진 마음이 아닐까
【Main Dreaming】
국어사전에서 ‘어질다’는 ‘마음이 너그럽고 착하며 슬기롭고 덕이 높다.’는 의미다. 인은 ‘인(人)’과 ‘이(二)’의 두 글자가 합해서 된 것이며, ‘친(親)하다’는 뜻이다.(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구인득인(求仁得仁)은 「인(仁)을 구(求)하여 인(仁)을 얻었다.」는 뜻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음을 뜻한다. 백이와 숙제의 고사를 두고 공자가 이른 말이다. 「백이와 숙제는 지나간 원한을 생각하지 않으므로,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 인을 구하여 그것을 얻었는데, 또 무엇을 원망하겠는가.(求仁得仁 又何怨乎)」 은나라의 고죽군은 세상을 떠나면서 왕위를 장자인 백이보다도 지도력이 있다고 생각되는 작은아들 숙제에게 물려준다고 하였다. 백이는 유명을 따라야 한다고 하고 나라 밖으로 달아나버렸다. 숙제도 왕위에 오르지 않고 떠나버렸다. 한편 주나라의 무왕은 선왕의 유언에 따라 은나라 주왕을 토벌하려고 했다. 때마침 주나라로 왔던 백이, 숙제는 무왕을 만류했다. 그 뒤 무왕은 출전하여 승리했고, 은나라의 백성은 포학한 정치에서 해방되었다. 그러나 백이와 숙제는 무왕을 비판하며 주나라 땅에서 나는 것은 그 무엇도 먹지 않기로 결심하고는 수양산으로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으며 살아가다 굶어 죽고 말았다.(출처: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한 가정이 인하면 나라가 흥인 하고, 위에 있는 자가 인을 좋아하는데 아래에 있는 자가 의를 좋아하지 않는 일이 없으며, 인하면서 부모를 버리는 일은 없고 의하면서 임금을 버리는 일은 없다. 인은 마음의 덕이요, 가정의 보배요, 위정의 근본이요, 만물과 일체이다.(대학, 맹자)
종교적으로는 영적으로 거룩하며 학문적으로는 지적으로 진리 안에 있고 예술적으로는 정적으로 감성이 풍성하며 경제적으로는 몸이 건강하고 최소한의 의식주가 해결된 문화 생활인이다. 남에게 아낌없이 나누고 베풀 줄 알며 인류를 사랑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거듭난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