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협성의 역사 정확하게 기록한다.
민관기
- 1791
- 2022-11-09 21:36:50
1885년 내조선한 스크랜턴 대부인은 이화학당을 세운후 지방 여러곳에 학교를 설립하므로
자신을 파견한 미 감리회 해외 여선교부의 뜻에 충실하였다.
대부인은 1890년경 협성부인학원을 세웠고, 여기엔 미국 오하이오주의 웨슬리언대학 대한인 최초 문학사인
김란사가 교수하고 헐버트 목사도 교수하였다.
위에서 말한 지방에 세운 여러 학교중 수원에 1902년 삼일학원(여/남학교)이 세워졌고 여기엔 수원유지들인 이하영 목사(3.1혁명 참전, 독립유공자), 임면수(신흥무관학교 교관, 독립유공자), 나중석(수원의 대부호, 나혜석의 오빠)등이 참여하였으며, 이하영 목사는 유력한 한학자이고 독실한 신앙인이며 나라의 국권수호의지를 가진이였으므로,' 내가 삼일만에 다시 살아나리라, 내가 이 성을 허물고 삼일안에 다시 세우리라'한 성경의 말씀을 받들어 학교의 이름을 삼일학원이라 명명하였다.
협성부인학원은 알벗슨을 거쳐 채핀에 이르러 협성여자신학교로 개명되었고 이 학교는 협성남자신학교와 합동하며 감리교회신학교가 되었다.
1970년대 삼일학원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을 때 삼일학원을 인수한 상동교회 박설봉 목사는 협성신학교를 발기/설립하므로서 70여 년 감리교회 선교학교의 전통을 고수해 온 중고등과정의 삼일학원과 함게하기 시작했다.
곧, 협성대학교는 스크랜턴, 알벗슨, 채핀으로 이어지다가 감리교회신학교와 감리교신학대학을 거치던중 협성신학교로 분화/설립되었고,
이는 1902년부터 경영되던 삼일학원과 합하니 협성대학교는 당당한 민족학교 삼일학원의 수장학교가 되었다.
= 삼일중고등학교 동문은 학원의 이사로 참여 안하나 대학의 동문은 이사로 참여한다.
이로써, 협성대학교는 1970년대에 갑자기 세워진 학교가 아니라 그 역사가 감신과 다를바가 하나도 없는
학교이며, 1902년의 삼일학원과 함께하니 더없는 민족의 유산으로 기리 빛난다.
정리하면,
삼일학원 협성대학교는 1890년의 협성부인학원, 1902년의 삼일여남학교, 1970년대 협성신학교의 완전/결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