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회 추도(追悼)

함창석
  • 1172
  • 2017-10-02 19:23:27
추도예식(追悼禮式)

산돌 함창석 장로

추 追 군대가 모여서 언덕으로 적의 뒤를 쫓아 나아가다

도 悼 죽음을 마음 아파하고 가엾게 여기며 참 슬퍼하다

예 禮 신께 바칠 음식을 풍성하게 차리고 굽혀서 절하다

식 式 줄 화살을 공작할 때에는 일정한 법식이 필요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전통적으로 인륜도리 실천의 지침으로서 효孝사상을 중심으로 가족 공동체의 윤리적 기능을 수행해왔다. 효는 살아 있는 부모를 모시는 것처럼 제사를 경건하게 지냄으로써 실천된다.

추도예식의 근본정신은 열조에게 보은의 효를 실천하고, 생명의 존엄성과 뿌리의식을 각인하는 것이며 나아가 열조의 유지에 따라서 진실한 삶을 살아가고, 가족공동체의 화목과 유대를 달성해 가는 것이다.

우리나라 주류 기독교에서는 부모의 생존 시에는 효성을 다하되 소천을 했을 때는 엄숙한 장례식만 하고, 그 후에는 추도예식으로 간소하게 대치하는 결정을 내렸고, 오늘날까지 이 결정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추도예식은 널리 행해지고 있다. 기독교 신앙이 지역의 문화와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증거이다. 그리고 기독교 가정에서 부모기일, 명절에 추도예식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이전 관리자 2017-10-01 법무법인(유) 로고스의 위법적 소송대리인 자격
다음 백영찬 2017-10-03 하나님께 제사드리는 민족의 추석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