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감리회 미투(微投)
함창석
- 1327
- 2018-02-10 00:59:37
산돌 함창석 장로
미투(微投)는 몰래 던짐. 작은 것이 닿음. 微는 몰래 간다는 뜻, 投는 손으로 던지다의 뜻이다.
米偸(쌀을 훔친다) : 米 쌀 미 1. 쌀 2. 미터(meter) 등이다. 米는 쌀이나 수수 따위 곡식의 낟알→벼의 모양, 나중에 고대에는 쌀을 대미(大米)ㆍ조를 소미(小米)라 일컬었고 훗날에는 보리ㆍ수수ㆍ조 따위에 대하여 쌀을 米(미)자로 나타낸다. 또 미터의 취음자로서 百(백미터)를 백미(百米)로 쓰기도 한다. 偸 1. 훔치다, 도둑질하다 2. 사통하다(私通 : 남녀가 몰래 서로 정을 통하다) 3. 탐내다 4. 구차하다 5. 교활하다 6. 깔보다 7. 야박하다, 인정이 박하다 8. 엷다 9. 남몰래 등이다. 偸는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兪(유→투)가 합(合)하여 이루어진다.
未渝(변하지 않는다) : 未 아닐 미 1. 아니다, 못하다 2. 아직 ~하지 못하다 3. 미래, 장차 등이다. 어떤 명사 앞에 쓰이어 아직 다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미는 나무 끝의 가느다란 작은 가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중에 분명하지 않다→희미한 모양→아직…하지 않다란 뜻에 쓴다. 渝 변할 투, 변할 유 1. 변하다, 바뀌다 2. 넘치다 3. (원한을)풀다 4. 풀리다, 벗기다 5. 즐겁다, 기쁘다 a. 변하다, 바뀌다 (유) b. 넘치다 c. (원한을)풀다 (유) d. 풀리다, 벗기다 (유) e. 즐겁다, 기쁘다 (유) 등이다. 渝는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兪(유)로 이루어진다.
魅鬪(요괴에 맞선다) : 魅 매혹할 매/도깨비 매, 도깨비 미 1. 매혹하다 2. 홀리다(정신을 흐리게 하다) 3. 현혹되다 4. 도깨비 5. 요괴(妖怪) a. 도깨비 (미) b. 요괴(妖怪) 등이다. (미) 魅는 뜻을 나타내는 귀신귀(鬼 귀신, 영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未(미→매)가 합(合)하여 이루어진다. 鬪 싸울 투/싸움 투 1. (두 병사가 손에 병기를 들고)싸우다 2. 승패를 겨루다 3. (두 사람이 손에 물건을 들고)다투다 4. 당하다 5. 맞서다 6. 한데 모으다 7. 맞추다 8. 합치다 9. 싸움 등이다. 闘는 뜻을 나타내는 싸울투(鬥싸우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착)으로 이루어진다.
美妬(좋은 일을 시기한다) : 美 아름다울 미 1. 아름답다 2. (맛이)좋다, 맛있다 3. 경사스럽다 4. 좋은 일 등이다. 美는 크고(大) 살찐 양(羊)이라는 뜻이 합하여 보기 좋다는 데서 「아름답다」를 뜻한다. 羊은 신에게 바치는 희생의 짐승으로서의 양, 美(미)는 신에게 바치는 살찐 양→맛있다→아름답다→훌륭함이다. 妬 샘낼 투 1. 샘내다 2. 강샘하다(지나치게 시기하다) 3. 시기하다 4. 투기하다 妬는 화를 내거나 싫어하거나 속상해 하는 것이다. 다소 예스러운 말로 강샘이며 뜻을 나타내는 계집녀(女 여자(女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石(석→투)가 합하여 이루어진다.
迷套(전례를 어지럽힌다) : 迷 미혹할 미 1. 미혹하다, 헷갈리다 2. 헤매다, 길을 잃다 3. 유혹하다, 어지럽게 하다 4. 흐릿하다 5. 빠지다, 심취하다 6. 혼미하다 7. 잃다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米(미)가 합(合)하여 이루어진다. 迷(미)는 길을 잃다→어떻게 하여야 좋을지 갈피를 못 잡음이다. 套 씌울 투 1. 씌우다 2. 겹치다 3. 크다 4. 덮개 5. 버릇 6. 씌우개 7. 전례 8. 모퉁이 9. 짐승의 우리 등이다. 버릇이 된 어떤 일정한 틀, 일의 방법, 또는 방식, 무슨 일을 하는 품이나 솜씨 등이다. 套는 大(대 크다)와 長(장 길다)을 합쳐 크고 길다를 뜻한다.
味透(맛에 사무치다) : 味 맛 미, 광택 매 1. 맛 2. 기분 3. 취향, 4. 빛깔(매) 등이다. 뜻을 나타내는 입구(口입, 먹다,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未(미)를 맛이란 뜻으로 썼으나 나중에 未(미)의 다른 쓰임과 구별하여 먹는 것에 관계가 있음을 분명히 하려 입구(口입, 먹다, 말하다)部를 붙여서 味(미)라 쓴다. 透 사무칠 투, 놀랄 숙 1. 사무치다, 다하다 2. 꿰뚫다, 투과하다 3. 투명하다 4. 환하다 5. 맑다 6. 놀라다(숙) 등이다.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통하게 하다의 뜻을 가지는 秀(수)로 이루어지며, 빠져나가다의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