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인물사전
잊혀진 사람을 되살리며 – 한국 감리교회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4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백 18년의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감리교회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리교인으로 선택하시어 당신의 도구로 활용하셨다. 이 부름에 응답한 한국 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의 큰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과 이웃, 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한국 감리교회를 세워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는 감리교인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국 감리교회를 만든 사람은 잊혀져 있다. 그 동안 몇몇 개인에 관한 전기나 회고록이 발행되기는 했으나 쉽게 구해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정이 그랬기에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인물사전의 편찬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에 역사위원회에서는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기억하고 기릴 뿐 아니라 한국 감리교회의 위상을 한국 교회와 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을 발행하게 되었다. — 발간사에서
2002년 10월
김명현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시영 조영렬 조이제 한규무
선교사사전
한국감리교회가 오늘의 성장이 있기까지는 수많은 외국선교사들의 땀과 눈물과 피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선교사들의 숫자와 생애와 사업에 관하여 별로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들의 신앙은 우리 신앙의 뿌리요 선교사들의 복음활동은 우리 전도활동의 뿌리이며 선교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은 오늘 우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선교사들을 아는데 너무나 등한시 해왔다.
우리 한국감리교사학회에서는 한국감리교회의 뿌리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630여명을 조사하여 그의 출생과 교육, 그리고 한국에 와서 이룩한 사업 등을 기록하여 [한국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라는 명칭으로 선교사 인명록을 출판한다. 학자, 기독교 지도자, 목사, 신학생들에게는 절대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본서의 출판비를 협조해 준 선교부 마태진 목사와 원고정리와 교정에 수고한 기정양에게 감사드린다. 본서를 사용하는 인사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한다. — 발간사에서
1989년 3월 18일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 윤춘병
[인물사전] 소다 가이치(Soda Gaichi, 會田 嘉伊知, 1867~1962)
- 2823
- 2006-07-05 01:01:00
전도사, 사회복지 사업가이고 고아의 자부(慈父)이다. 1867년 10월 20일 일본 야마구치에서 출생하여 오카야마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1893년 25세때 노르웨이 화물선 선원이 되어 홍콩에서 영어를 배웠다. 대만에서 독일인 경영의 공장 사무원 겸 통역이 되었고, 독일어를 공부했다. 중국‧대만 등지에서 방탕한 생활을 하면서 술에 취해 빈사 상태에 있을 때 한국인이 구해주어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그는 자기 생명을 구해준 은인의 나라에 은혜를 갚고자 1905년 6월 내한하였다.
1906년 기독교 신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1908년 독실한 기독교 신자 우에노 다키코를 만나 결혼하였다. 그 후 새사람이 되어 우선 술을 끊었다. 그리고 한국교회 대 부흥운동 때 이상재 선생의 전도운동에 동참하였으며, 경성 감리교회 전도사가 되었다. 매서인도 겸하여 복음 전도에 투신하였다. YMCA 일본어 교사로 봉사하고, 3‧1운동과 105인 사건 때에 한국인 청년지도자들의 석방에 앞장섰다. 1921년 가마쿠라 보육원 경성지부장에 취임하여 두 내외가 전심으로 고아들을 보육하게 되었다. 그는 8‧15 광복 때까지 1천여 명의 한국 고아를 수용했다.
그의 역경과 고생은 형언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그가 거리에 버려진 갓난아기를 안고 이집 저집 유모를 찾는 일, 아기가 울어서 밤잠을 못 잔 일들 수없이 많이 있다. 1943년 77세에 원산교회 무보수 전도사로 취임하기도 했다. 8‧15 광복 후 1947년 10월 13일 원산에서 서울로 와 잠깐 부인을 만나고 귀국을 위하여 서울에서 부산까지 걸어갔다. 그리고 배편으로 시모노세키에 도착했다. 이때부터 그는 한 손에는 세계평화란 표어를 들고, 한 손에는 성경책을 들고 회개를 부르짖었다.
(출처-양화진 선교사,신호철저,예장 서울서노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