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인물사전
잊혀진 사람을 되살리며 – 한국 감리교회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4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백 18년의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감리교회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리교인으로 선택하시어 당신의 도구로 활용하셨다. 이 부름에 응답한 한국 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의 큰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과 이웃, 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한국 감리교회를 세워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는 감리교인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국 감리교회를 만든 사람은 잊혀져 있다. 그 동안 몇몇 개인에 관한 전기나 회고록이 발행되기는 했으나 쉽게 구해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정이 그랬기에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인물사전의 편찬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에 역사위원회에서는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기억하고 기릴 뿐 아니라 한국 감리교회의 위상을 한국 교회와 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을 발행하게 되었다. — 발간사에서
2002년 10월
김명현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시영 조영렬 조이제 한규무
선교사사전
한국감리교회가 오늘의 성장이 있기까지는 수많은 외국선교사들의 땀과 눈물과 피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선교사들의 숫자와 생애와 사업에 관하여 별로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들의 신앙은 우리 신앙의 뿌리요 선교사들의 복음활동은 우리 전도활동의 뿌리이며 선교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은 오늘 우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선교사들을 아는데 너무나 등한시 해왔다.
우리 한국감리교사학회에서는 한국감리교회의 뿌리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630여명을 조사하여 그의 출생과 교육, 그리고 한국에 와서 이룩한 사업 등을 기록하여 [한국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라는 명칭으로 선교사 인명록을 출판한다. 학자, 기독교 지도자, 목사, 신학생들에게는 절대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본서의 출판비를 협조해 준 선교부 마태진 목사와 원고정리와 교정에 수고한 기정양에게 감사드린다. 본서를 사용하는 인사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한다. — 발간사에서
1989년 3월 18일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 윤춘병
[인물사전]강조원(姜助遠, 1875. 9. 16∼?)
- 963
- 2006-07-05 01:01:00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옥정리에서 태어남. 1885년부터 3년간 한문수학을 한 후 1898년 배재학당에 진학하였다. 같은 해 5월 15일에 세례를 받았으며, 감리교 협성신학교를 1915년 졸업하였다. 1912년 5월 남감리교회 전도사 직첩을 받았고, 같은 해 감리교 주일학교 총무가 되었다. 1913년 수표교교회 전도사로 일하고 1915년부터 2년간 개성 동부지방 순행전도사가 되었다. 1917년 9월에 집사목사 안수를 받고 개성 북부교회에서 시무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개성 남부교회 김지환 전도사와 함께 개성 만세시위운동을 모의하여 3월 3일부터 지방에서는 최초로 만세시위를 벌였다.
1921년 서울의 종교교회로 옮겼으며 1922년 장로목사 안수를 받았다. 1922년에 다시 개성북지방 순행목사가 되었으며, 1925년 춘천지방 순행목사를 거쳐 1926년 9월 8일부터 13일까지 종교교회에서 열렸던 제9회 연회에서 자교교회로 파송을 받았다. 이때부터 자교구역회에는 계동기도처(후에 원동교회)가 설립되어 자교구역에 속하였다. 강조원은 두 교회를 돌보아야 했다. 1927년 9월 연회에서 개성구역장으로 파송을 받게 되었다. 1935년 개성 남한(南寒)교회, 1937년 풍덕(豊德)교회를 담임하였다. 개성동지방 감리사직(1931∼1935)도 맡아 활동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