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인물사전
잊혀진 사람을 되살리며 – 한국 감리교회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4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백 18년의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감리교회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리교인으로 선택하시어 당신의 도구로 활용하셨다. 이 부름에 응답한 한국 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의 큰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과 이웃, 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한국 감리교회를 세워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는 감리교인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국 감리교회를 만든 사람은 잊혀져 있다. 그 동안 몇몇 개인에 관한 전기나 회고록이 발행되기는 했으나 쉽게 구해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정이 그랬기에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인물사전의 편찬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에 역사위원회에서는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기억하고 기릴 뿐 아니라 한국 감리교회의 위상을 한국 교회와 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을 발행하게 되었다. — 발간사에서
2002년 10월
김명현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시영 조영렬 조이제 한규무
선교사사전
한국감리교회가 오늘의 성장이 있기까지는 수많은 외국선교사들의 땀과 눈물과 피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선교사들의 숫자와 생애와 사업에 관하여 별로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들의 신앙은 우리 신앙의 뿌리요 선교사들의 복음활동은 우리 전도활동의 뿌리이며 선교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은 오늘 우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선교사들을 아는데 너무나 등한시 해왔다.
우리 한국감리교사학회에서는 한국감리교회의 뿌리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630여명을 조사하여 그의 출생과 교육, 그리고 한국에 와서 이룩한 사업 등을 기록하여 [한국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라는 명칭으로 선교사 인명록을 출판한다. 학자, 기독교 지도자, 목사, 신학생들에게는 절대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본서의 출판비를 협조해 준 선교부 마태진 목사와 원고정리와 교정에 수고한 기정양에게 감사드린다. 본서를 사용하는 인사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한다. — 발간사에서
1989년 3월 18일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 윤춘병
[선교사사전]해리스(Harris, Bishop Merriman Colbert 1846-1921)
- 247
- 2006-07-05 01:01:00
미감리교회 한국, 일본 감독. 친일자. 1846년 오하이오주 빌스빌에서 출생. 1863년 남북전쟁에 의용군으로 출전하여 5년간 근무한 후 1872년 알레계대학 졸업. 그해 일본 선교로 파견되었다 74년도 북해도 하꼬다데에서 선교하는 한편 미감리회와 카나다 감리회를 통합시켜 일본 감리회를 조직하였고 1882년 부인이 병으로 돌아갔다가 미국 안의 일본교회 관리자가 되었고 1904년 미감리회 총회에서 한국과 일본주재 감독으로 피선되어 일본에 부임하였다. 그는 친일분자로서 한국의 엡윗청년회원들이 상동교회에 모여 1905년 을사조약 반대 투쟁을 했다 하여 해산명령을 내린 바도 있다. 한국 주재 노불선교사는 같은 미국인이면서도 해리스의 친일 행위가 마땅치 못해 1914년 가을 남경 금릉대학에서 미감리회 동양선교회가 열렸을 때 희외 석상에서 해리스를 향해 ‘먹장같이 검은 흑인도 백인의 살결 같이 결백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 있는가 하면 흰눈 같이 흰 백인도 흑인의 살결 같이 검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이 바로 역 있는 해리스다. 이 해리스는 사소한 일본인의 뇌물에 눈이 어두워 한일합방에 협력했을 뿐 아니라 한국 교회에 많은 해독을 주었다. 우리는 결코 그 일을 용서할 수 없다. 한국인은 솔직하고 정의가 두텁고 두뇌가 명석한 민족이어서 세계 어느 곳에 가든지 동정과 사랑을 받고 있는데 유독 해리스만은 한국인을 해치고 있으니 같은 미국인으로서도 용서할 수 없는 수치스러운 사람이다...’라고 면박을 주었다. 1916년 은퇴. 귀국했다가 21년에 사망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