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인물사전
잊혀진 사람을 되살리며 – 한국 감리교회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4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백 18년의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감리교회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리교인으로 선택하시어 당신의 도구로 활용하셨다. 이 부름에 응답한 한국 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의 큰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과 이웃, 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한국 감리교회를 세워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는 감리교인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국 감리교회를 만든 사람은 잊혀져 있다. 그 동안 몇몇 개인에 관한 전기나 회고록이 발행되기는 했으나 쉽게 구해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정이 그랬기에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인물사전의 편찬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에 역사위원회에서는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기억하고 기릴 뿐 아니라 한국 감리교회의 위상을 한국 교회와 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을 발행하게 되었다. — 발간사에서
2002년 10월
김명현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시영 조영렬 조이제 한규무
선교사사전
한국감리교회가 오늘의 성장이 있기까지는 수많은 외국선교사들의 땀과 눈물과 피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선교사들의 숫자와 생애와 사업에 관하여 별로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들의 신앙은 우리 신앙의 뿌리요 선교사들의 복음활동은 우리 전도활동의 뿌리이며 선교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은 오늘 우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선교사들을 아는데 너무나 등한시 해왔다.
우리 한국감리교사학회에서는 한국감리교회의 뿌리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630여명을 조사하여 그의 출생과 교육, 그리고 한국에 와서 이룩한 사업 등을 기록하여 [한국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라는 명칭으로 선교사 인명록을 출판한다. 학자, 기독교 지도자, 목사, 신학생들에게는 절대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본서의 출판비를 협조해 준 선교부 마태진 목사와 원고정리와 교정에 수고한 기정양에게 감사드린다. 본서를 사용하는 인사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한다. — 발간사에서
1989년 3월 18일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 윤춘병
[선교사사전]존스(Jones, Mrs. Margaret Bengel, 1869~1962)
- 423
- 2006-07-05 01:01:00
마가렛 벵겔은 1890년 10월에 내한하여 스크랜턴 여사를 도와 이화학당에서 교육사업을 하였으며. 그녀는 존스 목사와 함께 인천에 파송받아 교회 개척 활동에 참여하였다. 1892년 영화여학당을 설립하였고, 1893년 존스 목사와 결혼하였다. 아펜젤러가 서울과 인천을 왕래하며 세운 내리교회를 중심으로 전도부인 백헬렌과 더불어 여성선교에 힘썼다.
여성선교에 힘쓰던 마가렛 존스 선교사는 남녀합석을 꺼리던 여성들을 위해 초가예배당을 1894년 건축하여 자력으로 교회를 세워 활동하였고, 황해도와 경기도 섬지역 등도 전도하였다. 존스 목사의 1910년 미국 한국선교25주년 행사로 인해 1909년 귀국하여 미국에서 여러 대학을 방문하여 모금사업에 동참하였으며, 25주년 사업기념의 일환으로 1913년에 한국의 매력(The Lure of Korea) 출판했다. 이 책에는 선교사 명단과 그들의 사업내용을 간단히 서술하였다. 또한 박에스더(최초여성의사)와 김하란사(웨슬리안대 문학사)와 같은 인물도 소개하였다. 한국인의 열정과 헌신과 모범은 선교사의 자기 성찰에 큰 도움을 받았음을 알리고 있다. (증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