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인물사전
잊혀진 사람을 되살리며 – 한국 감리교회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4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백 18년의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감리교회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리교인으로 선택하시어 당신의 도구로 활용하셨다. 이 부름에 응답한 한국 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의 큰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과 이웃, 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한국 감리교회를 세워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는 감리교인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국 감리교회를 만든 사람은 잊혀져 있다. 그 동안 몇몇 개인에 관한 전기나 회고록이 발행되기는 했으나 쉽게 구해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정이 그랬기에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인물사전의 편찬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에 역사위원회에서는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기억하고 기릴 뿐 아니라 한국 감리교회의 위상을 한국 교회와 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을 발행하게 되었다. — 발간사에서
2002년 10월
김명현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시영 조영렬 조이제 한규무
선교사사전
한국감리교회가 오늘의 성장이 있기까지는 수많은 외국선교사들의 땀과 눈물과 피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선교사들의 숫자와 생애와 사업에 관하여 별로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들의 신앙은 우리 신앙의 뿌리요 선교사들의 복음활동은 우리 전도활동의 뿌리이며 선교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은 오늘 우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선교사들을 아는데 너무나 등한시 해왔다.
우리 한국감리교사학회에서는 한국감리교회의 뿌리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630여명을 조사하여 그의 출생과 교육, 그리고 한국에 와서 이룩한 사업 등을 기록하여 [한국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라는 명칭으로 선교사 인명록을 출판한다. 학자, 기독교 지도자, 목사, 신학생들에게는 절대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본서의 출판비를 협조해 준 선교부 마태진 목사와 원고정리와 교정에 수고한 기정양에게 감사드린다. 본서를 사용하는 인사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한다. — 발간사에서
1989년 3월 18일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 윤춘병
[선교사사전]샤프(Sharp, Rev & Mrs. Robert Arthur 1872.3.18-1906)
- 412
- 2006-07-05 01:01:00
캐나다 온타리오의 캐스토릴 출생. 1903년 오벌린대학을 졸업하고 무어, 벡커 등과 함께 내한하여 먼저 활동하고 있던 해몬드(Alice Hammond, 史愛理施)양과 결혼, 정동제일교회에서 목회하면서 배재학당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03년 10월 조직된 황성기독청년회(YMCA)의 초대이사. 1904년 충남 공주 선교부 책임자로 공주영명학교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1906년 2월 논산, 강경등 순회전도 도중에 발진티푸스에 걸려 공주에서 3월 15일 별세하였다.
앨리스 샤프(Alice J. Hammond, 사애리시, 사부인,1871~1972)는 미감리회 여선교회의 파송을 받아 1900년에 내한하여 공주 명선여학당(영명여학당)을 설립, 교육에 힘쓰다 1903년 샤프선교사와 결혼하여 선교활동을 하였으며, 여성들을 위한 오후 집회를 개설하여 여성들의 성경읽기와 한글 공부반을 운영 하였다. 1906년 남편 사별 후 귀국하였다가 1908년 다시 내한하여 공주지역에서 전도부인 양성과 순회전도를 하여 많은 여성신도를 전도하였고, 여성의식 향상과 지역사회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1909년 강경에 만동여학교를 1935년 공주에 원명(元明)서당을 설립하였다. 1938년 공주 영명여학교에서 그의 은퇴를 맞이하여 기념비를 건립하였고 1940년 일제에 의해 강제 귀환되었다. 은퇴후 캘리포니아 패서디나 선교사양로원에서 지내다 101세에 소천하였다.
* 논산제일교회, 논산유치원등 10여개 교육기관 설립(증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