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감독회장, 감독후보 들에 대한 과도한 등록금은 조정되어야 한다
장병선
- 2587
- 2016-05-28 21:56:30
감독·감독회장 선거관리위원회가 상정한 예산안이 그대로 통과됐다. 선관위는 등록금을 감독 2,500만원, 감독회장 5,000만원으로 책정해 총 8억원의 지출예산을 세웠다. 남는 예산은 후보들에게 환급된다.
감독회장 후보자6명 × 5,000 만원 = 3억
감독 후보자 10개연회 × 각 2명 × 2,500 만원 = 5억
시행세칙은 12조②항의 ‘합동정책발표회 및 토론회’를 할 수 있게 한 조항을 삭제한 채 모두 인준됐다. 선거과열 때문에 정책발표회를 장정에 금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결정으로 예산안에 책정된 ‘정책발표회 비용 8천만원’이 삭제됐다. 또 부칙에 ③항을 두어 ‘시행세칙에 미비한 사안은 준칙을 만들어 시행한다’는 조항을 넣기로 했다.
이철 위원이 ‘후보가 타 교회나 행사에서 축도나 설교를 할 수 있는지’를 묻자 문성대 선관위원장이 “행사를 주선 해서는 안되지만 초대되어선 할 수 있다”며 선거운동금지사항 등과 관련해 예비 후보자들과 대화의 자리를 만들 것이라고 답변했다(당당뉴스)
............................................................................................................................
* 선관위가 어떤 근거에 의해 예산을 책정하고, 등록금을 정했는지 알 수 없으나, 이건 순전히 돈잔치 냄새가 난다.
정직하게 목회에만 전념한 목사가 사비로 부담하기에는 지나치게 부담스러울 듯 하다.
'돈'으로 문턱을 높일 것이 아니라, 철저한 검증 시스템과 깨끗한 선거로 불량후보를 걸러내야할 것이다.
출사표를 던진 후보중에는 영성도, 지성도, 행정력도 시골 이장만도 못하게 느껴지는 인물도 보인다.
이런 자들이 돈과 조직의 힘으로 최고지도자의 자리에 앉게 된다면 감리교의 미래는 암담할 수 밖에 없다.
선관위가 제대로 관리를 해 낼 것인지 출발 부터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
공교회 지도자를 뽑는 중대한 사안인 만큼 후보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기 보다는 본부의 예산을 선거비용으로 책정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