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난해‧중요 성구:…내 교회를 세우리니…(마 16:18): 베드로? 신앙고백? 신앙고백한 베드로?
관리자
- 1596
- 2017-10-18 01:59:46
헬라어 [베드로](Πέτρος)는 아람어로 게바(Κηφάς)이며 ‘돌’이나 ‘반석’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예수께서 시몬을 처음 만났을 때에 지어 주신 별명인데(요 1:42), 여기서 다시금 명명하신 것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의 [반석]은 남성 명사요 고유 명사인 [베드로](Πέτρος: ‘반석’)와 달리, 여성 명사요 보통 명사인 페트라(πέτρᾳ)이다. 이 반석(페트라, πέτρᾳ)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해석되어 왔다.
(1) 그리스도라는 설이 있다(“Augustine”,① E. H. Plumptre, P. S. Ruckman) 그 근거로 본문을 이사야 28:16의 반영으로 보고, 또 그리스도를 반석이라고 한 로마서 9:33과 고린도전서 10:4과 베드로전서 2: 8 등을 들고 있으나, 전후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다.
(2)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정설인 베드로라는 설이 있다. 베드로는 교회의 기초요 주권자이며, 천국의 열쇠를 가진 로마 카톨릭 교회의 교황의 원조라는 것이다. 그 근거로 [베드로](Πέτρος: ‘반석’)와 [반석](페트라, πέτρᾳ)이 같은 헬라어이며, 다음 구절과의 자연스런 연결을 들고 있다.
그러나 이 견해는 [베드로](Πέτρος: ‘반석’)가 헬라어의 남성 명사이고, [반석](페트라, πέτρᾳ)은 헬라어의 여성 명사라는 점과 예수께서 고난의 메시아로서 고난을 당할 것을 밝히셨을 때, 베드로가 결정적인 잘못을 범하고 예수님의 혹독한 책망을 들었다는 점(16:21-23)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드로가 예수님을 유대교의 영광의 메시아로 오인했다는 점과 베드로가 한때 안디옥에서 신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주석서와 주해서에서 인용할 경우 저자의 이름만 밝혔고, 같은 견해를 가진 학자들이 네 명 이하일 경우 본문의 괄호 속에 이름을 밝혔음.
1) in 이상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적 모순과 윤리적 모순 가운데 빠져 유대의 기독교인들을 실족케 한 잘못 때문에 바울에게 공개적인 책망을 들었다는 점(갈 2:12-14)② 들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 한 마디로 말해, 베드로는 교회의 기초요 주권자가 될 만큼 무오의 신앙인이 아니다.
(3) 바클레이(W. Barclay)는 베드로가 모든 교회의 첫 돌이라고 한다. 베드로는 교회가 세워지는 반석이 아니며, 교회가 세워지는 반석은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베드로는 하나님의 반석 위에 세워지는 교회의 첫 번째 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베드로와 똑같은 발견을 한 모든 사람은 그리스도의 교회의 구성물에 추가되는 또 하나의 돌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견해는 [반석](페트라, πέτρᾳ)이 여성 명사로 하나님께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과 전후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과 다음 구절과의 연결이 부자연스럽다는 점 등이 약점이다.
(4) 베드로가 아니라 그의 신앙 고백이라는 설이 있다.③ [베드로](Πέτρος: ‘반석’)와 [반석](페트라, πέτρᾳ)을 같은 의미로 볼 수 있고, 예수께서 친히 하신 표현인 아람어 게바(Κηφάς)가 앞의 두 헬라어(Πέτρος와 πέτρᾳ)에 해당되기는 하나, “그 성(性)이 변경된 것은 어떤 다른 사실을 지적한다고 보아야 한다”(J. Calvin)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2)설에 대한 반대 견해들이 이 견해에 대한 보충 설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견해는 [반석](πέτρᾳ)의 전후 문맥상 어색하고, 다음 구절과는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약점이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저자의 갈라디아서 2:12-14의 주석을 보라.
3) “Chrysostom, Hilary, Ambrose, Jerome, Gregory Nyssa, Cyril”(in A. L. Williams & W. J. Deane), J. Calvin, J. Wesley, A. Clarke, 이상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5) 예수 그리스도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라는 진리라는 설이 있다.④ 알렌(W. C. Allen)은 “네 이름은 베드로(Petros)이고, 이 진리는 내가 내 교회를 세울 반석(πέτρᾳ)이다.”라고 하였다.
(6)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시며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알게 하신 하나님의 계시라는 설이 있다(R. C. H. Lenski).
(7) 신앙 고백을 한 베드로라는 설이 있다.⑤ 이 견해는 교회의 기초요 주권자이며, 천국 열쇠를 가진 로마의 교황의 원조로 보는 견해에 반대한다. 이 견해의 근거로는 [베드로](Πέτρος: ‘반석’)와 [반석](페트라, πέτρᾳ)이 성(性)은 다르나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는 점과 예수께서 친히 하신 표현인 아람어 게바(Κηφάς)가 앞의 두 헬라어(Πέτρος와 πέτρᾳ)에 해당된다는 점과 “랍비들이 반석이라는 말을 아브라함에게 적용한 점”(W. Barclay)과 다음 구절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예수님의 메시아성을 정확하게 안 것은 아니나, 예수님을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로 믿고 고백한 베드로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예수님의 메시아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예수님 자신이 고난의 메시아이심을 밝히신다(16:21). 베드로와 같이 예수님을 메시아로 믿는 사람들은 예수님이 세우시는 교회의 구성원이 되는 것이다.
[내 교회를 세우리니]의 [교회]는 에클레시안(ἐκκλησίαν)이며, {바울 서신들에 60회 정도 나온다(W. Barclay). 이 낱말의 히브리어적 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4) M. Henry, “M’Neile”(in R. Earle, 마태복음<비콘 성경 주석, 6>), W. C. Allen, R. Earle, 마태복음(비콘 성경 주석, 6).
5) J. A. Bengel, “Bruce, Vincent, Plummer, Barth”(in 이상근), D. Hill, W. Hendriksen, A. L. Williams & W. J. Deane, A. Barnes, C. R. Erdman, R. V. G. Tasker(p. 162), W. F. Albright and C. S. Mann(p. 195), E. Schweizer, 黑崎幸吉.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경으로 카아할(gâhâl: 창 49:6, 출 12:6, 민 14:5, 신 5:22, 겔 23:24 등) 및 에에다(ēdhâh: 레 8:4, 민 8:9, 10:2, 잠 5:14 등)가 있다. 전자는 ‘부름을 받은 모임’, 후자는 ‘지명된 모임’의 뜻으로 다 같이 하나님의 백성의 모임 또는 선민 자체를 가리켰다.
신약성경에서 그 낱말은 “‘특별한 목적을 위해 소환된 사람들의 모임’, ‘특수 지역의 거주민들로부터 모집된 믿는 자들의 공동체’,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에 의해 소집된 공동체’, ‘하나님의 종말론적 백성’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P. S. Minear).
바울은 교회의 교회됨에 대해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살전 1:1)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교회와 일반 단체와의 결정적인 차이점이다. 하나님은 바로 교회의 근거요 생명이요 활동의 무대이다.}(딤전 3:5의 주석).
[음부(11:23의 주석을 보라.)의 권세]의 [권세]는 픨라이(πύλαι)이며 ‘대문들’이라는 뜻이다.
[권세](픨라이, πύλαι) 곧 대문들에 대해, 반즈(A. Barnes)는 “고대의 도시들은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사람들이 출입하는 대문은 재판이 열리거나 업무를 처리하거나 공적인 상황들을 전달해 주는 중심적인 장소였다.”라고 하였다.
[음부의 권세](πύλαι ἅδου) 곧 지옥의 문들에 대해, 웨슬리(J. Wesley)는 “성문과 성벽이 성의 힘이듯이, 그리고 재판정이 그 문에서 개최되듯이 지옥의 문이란 말은 사탄의 권세와 정책과 도구를 의미한다.”라고 하였다.
이기지 못하리라에 대해 모리슨(Morison)은, “우리 구주는 그의 참 교회가 사망과 파멸에 결코 굴복하지 않을 것을 말씀하신다.”⑥라고 하였고; 웨슬리(J. Wesley)는 “보편적인 교회를 멸망시켜 버릴 만큼 이기지 못할 것이다. 또한, 과거에도 결코 이기지 못했다. 모든 세대에 소수의 남은 자들이 있었다.”라고 하였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6) in R. Earle, 마태복음(비콘 성경 주석, 6).
※ 출처: 최세창, 마태복음(서울: 글벗사, 2004, 1판 1쇄), pp. 461-464.
필자의 newrema.com의 저서들: 신약 전체 주석/ 난해 성구 사전 I, II권/ 예수 탄생 이전의 구원/ Salvation Before Jesus Came/ 바울의 인간 이해/ 바울의 열세 서신/ 우린 신유의 도구/ 눈솔 인터넷 선교/ 영성의 나눔 1, 2, 3, 4권/ 영성을 위한 한 쪽/ 설교집 25권/ 눈솔 예화집 I, II. (편저)/ 웃기는 이야기(편저).// 다수의 논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