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려(配慮)......

오재영
  • 1258
  • 2017-12-08 00:41:38
주문한 설렁탕이 사무실로 배달되자 사무실 사람들은 식사를 하려고 회의실로 모여들었다.
그때 사무실 문이 열리드니 김 대리가 청소하는 아주머니의 팔을 끌며 안으로 들어왔다. “왜, 거기서 식사를 하세요? 우리도 식사를 하려던 참이었는데, 같이하시면 좋잖아요. 어서 이리 앉으세요.” 김 대리는 도시락을 손에 들고 멋쩍어하는 아주머니를 기어코 자리에 앉혔다. “아니에요, 저는 그냥 나가서 혼자 먹는 게 편한데......,” “아주머니 저도 도시락 싸왔어요, 이거 보세요.”

정이 많은 김 대리는 아주머니의 도시락을 뺏다시피 해서 탁자위에 올려놓고는 자신의 도시락을 나란히 꺼내 놓았다. “아니, 왜 이 건물엔 청소하시는 아주머니 식사할 곳 하나가 없어!” “그러게나 말야.” “글쎄, 날씨도 추운데 옥상으로 올라가는 계단에서 식사를 하시려 하잖아,” 김 대리는 안쓰러운 표정을 지으며 동료들에게 말했다. 멀찌감치 듣고만 있던 창수도 그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의 표시를 했다. 아주머니가 싸온 반찬 통에는 시들한 김치만 가득했다. 숫기가 없는 아주머니는 자신이 싸온 초라한 반찬이 창피했는지 고개를 숙인 채 조심스럽게 식사를 하고 있었다.

김 대리는 아내가 정성스레 준비해준 김이며 장조림이며 명란젓을 몇 번이고 아주머니에게 권해드렸다. 그리고 자신은 아주머니가 싸온 시들한 김치만 먹었다. “김치 참 맛있네요, 아주머니,” 김 대리의 말에 아주머니는 소리 없이 미소만 지었다. 다른 동료들도 아주머니가 싸온 김치를 맛나게 먹었지만, 창수는 단 한 조각도 입에 넣지 않았다. 창수는 왠지 그 김치가 불결해 보였다. 워낙에 시들한데다가 김치가 담겨 있던 통은 너무 낡아 군데군데 허옇게 벗겨져 있었고 붉은 물까지 들어 있었다.

밥을 다 먹고 나자 창수는 아주머니에게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출근할 때 아내가 보온병에 담아준 율무차를 아주머니에게 주었다. 종이컵에 따르면 두 잔이 나오지만 머그잔에 가득 따라 자신은 먹지 않고 아주머니에게만 주었다. 아주머니는 거듭 사양했지만 결국 창수의 성화에 못 이겨 율무차를 마셨다. 대신 창수는 자동판매기에서 커피 네 잔을 뽑아 동료들과 함께 마셨다. 아주머니는 그 자리가 어려웠는지 율무차를 마시는 내내 벽 쪽만 바라보고 있었다.

“정말 맛있게 마셨어요, 근데 제가 다 마셔서 어떻게 하지요?” “아니에요.” 아주머니는 창수가 준 율무차를 조금도 남김없이 다 마시고는 진심으로 고맙다는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는 머그잔을 씻어다 준다며 밖으로 나갔다.

그날, 7시쯤 집으로 돌아온 창수를 보자마자 그의 아내가 대뜸 물었다. “아침에 가져간 율 무차 드셨어요?” “그럼,” “어쩌면 좋아요. 맛이 이상하지 않았어요?” “왜?” “아니 글쎄, 율 무차에 설탕을 넣는다는 게 맛소금을 넣었지 뭐예요. 저녁을 하다 보니까 내가 설탕 통에 맛소금을 담아 놓았더라구요.” 창수는 아내의 말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자신의 마음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청소부 아주머니가 싸온 김치를 그가 불결하다고 생각할 때, 아주머니는 짜디짠 율무차를 마셨다. 조금도 남기지 않고 몇 번이고 맛있다는 말을 되풀이 하면서...... 그 날 밤 창수는 밤늦도록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의 이불 뒤척이는 소리만이 밤의 고요를 깰 뿐이었다.....
- 이 철환 "연탄 길" -

※ 아침 Q.T시간, 시편 62편 1~12절의 말씀 묵상 에세이 난에, 이동원 목사께서 소개한 고난의 과정을 극복한 베스트셀러 작가 이 철환 씨의 “연탄 길”의 내용입니다. 그의 두 번째 책은 300만 명이 넘는 이들이 읽었답니다. 그는 리어카에 싸구려 사과를 한가득 싣고 장사하다가 사람들을 피해 골목 안에서 사과하나를 깨물며 배고픔을 달래야 할 때도 결코 절망하지 않았답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대답했답니다. “하나님이 계시기에 저는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이어진 Q.T기도문이 마음을 숙연케했습니다.
-억울하고 답답한 일들 속에서 잠잠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곳저곳에 제 사정과 무고함을 하소연하기 전에, 온전한 피난처요 구원이신 주님 앞에 요동 함 없이 머물기를 원합니다. 모든 것을 판단하시고 갚아주실 능력의 주님께 제 마음을 오롯이 쏟아놓게 하소서.-

이전 서의영 2017-12-07 2018년도 군종장교(요원) 선발 계획 알림
다음 김기철 2017-12-08 2018년 탁상용 목회달력(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