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감리회 공경(公卿)
함창석
- 1090
- 2018-03-14 01:56:53
산돌 함창석 장로
公은 사사로운(마늘모(厶 나, 사사롭다, 마늘 모양)部) 일과 서로 등지고(八) 있다는 뜻이 합(合)하여 그 반대(反對)의 의미(意味)로 「공변되다」를 뜻한다. 公(공)의 옛 모양은 무엇인가 닫힌 것을 여는 모양인 듯, 옛날의 쓰임새는 신을 모시고 一族(일족)의 사람이 모이는 광장을 나타내고 그 후부터 거기에 모셔지는 사람→일족의 長(장)→높은 사람이란 뜻이 되었다.
주인공(主人公)은 연극, 영화, 소설 따위에서 사건의 중심이 되는 인물이며 어떤 일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고 드러나지 아니한 관심의 대상이다.
公(Sir)은 ①여러 사람을 위하거나, 여러 사람에게 관계(關係)되는 국가(國家)나 사회(社會)의 일 ②공작(公爵) ③남자의 성이나 시호(諡號)ㆍ아호(雅號) 또는 관작(官爵) 뒤에 붙이어 경의를 나타내는 말 ④공작(公爵)의 작위(爵位)를 받은 사람의 성이나 이름 뒤에 붙이어 부르는 말 ⑤「공적(公的)인」의 뜻을 나타내는 말 ⑥(2인칭(二人稱) 남자에 대(對)해서)「당신」, 「그대」의 뜻으로 쓰는 높임말 ⑦(3인칭(三人稱) 남자에 대(對)해서)「당신」의 뜻으로 쓰는 높임말이다.
공작은 영국에서, 귀족의 작위를 받은 이를 높여 이르는 말로 다섯 등급으로 나눈 귀족의 작위 가운데 첫째 작위이며, 고려 공민왕 때에 둔 오등작의 첫째 작위이기도 하다.
卿(Sir)은 고대국가의 관직명, 또는 고위 관인을 일컫는 말이다. 두 사람이 음식(飮食)을 마주 보고 앉은 모양이다. 또 王(왕)의 음식, 시중을 드는 사람의 뜻으로 차용되었다. 고대(古代)에 왕의 음식을 시중드는 사람은 높은 地位(지위)에 있었으므로 공경(公卿)의 뜻으로 전용(專用)되었다.
추기경(樞機卿)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 다음가는 성직으로 교황의 최고 고문으로 교회 행정과 교황 선출에 관여한다. ‘교황의 원로원 의원’ 이라고도 일컫는다. 추기경단은 대개 주교급, 사제급, 부제급 추기경들로 구성된다. 교황을 의장으로 하는 추기원회의(Consistorium)를 구성하며, 교황이 죽으면 사후 15일 이내에 전 추기경들이 로마의 시스티나 성당에 모여 교황 선출회의를 열고 새 교황을 선출한다. 교황은 추기경 중에서 선출되는 것이 관례이다.
卿은 ①영국(英國)에서 나이트 작(Knight 爵)을 받은 이에 대(對)한 경칭(敬稱) ②조선(朝鮮) 시대(時代) 말엽(末葉) 시종원(侍從院)ㆍ장례원(掌隷院)ㆍ내장원(內藏院)ㆍ회계원(會計員)ㆍ주전원(主殿院)ㆍ비서원(秘書院)ㆍ태의원(太醫院)ㆍ어공원(御供院)ㆍ제실 회계 감사원(帝室會計監査院)의 각 으뜸 벼슬 ③고려(高麗) 태조(太祖) 때의 이직(吏職)으로 병부(兵部)ㆍ창부(倉部)의 으뜸 벼슬 ④고려(高麗) 태조(太祖) 때 서경 분사(西京分司)의 아관(衙官)ㆍ병부ㆍ납화부(納貨府)ㆍ진각성(珍閣省)ㆍ내천부(內泉部)ㆍ국천부(國泉部)ㆍ관택사(官宅司)ㆍ도항사(都航司)ㆍ대어부(大馭府)에 둔 벼슬 ⑤고려(高麗) 25대 충렬왕(忠烈王) 때 전중성(殿中省)ㆍ대상시(大常寺)를 고친 종정시(宗正寺)ㆍ봉상시(奉常寺)에 둔 벼슬 ⑥고려(高麗) 때 대상시(大常寺)ㆍ위위시ㆍ대복시(大僕寺)ㆍ예빈성(禮賓省)ㆍ사농시(司農寺)ㆍ대부시(大府寺)ㆍ사재시(司宰寺)의 종3품(從三品) 벼슬 ⑦고려(高麗) 태조(太祖) 때 병부(兵部)ㆍ물장성(物藏省)의 각 버금 벼슬 ⑧신라(新羅) 때 전읍서(典邑署)ㆍ영창궁(永昌宮) 성전(成典)ㆍ국학(國學)ㆍ음성서(音聲署)의 각 으뜸 벼슬. 위계(位階)는 아찬(阿湌) 혹은 사찬으로부터 내마(柰麻)까지, 또는 아찬(阿湌)으로부터 급찬까지임 ⑨신라(新羅) 때 조부(調府)ㆍ경성 주작전(京城周作典)ㆍ창부(倉部)ㆍ예부(禮部)ㆍ승부(乘部)ㆍ사정부(司正部)ㆍ예작부(例作部)ㆍ선부(船部)ㆍ영객부(領客部)ㆍ위화부(位和府)ㆍ좌이방부(左理方府)ㆍ우이방부(右理方府)ㆍ내성(內省)ㆍ사천왕사(四天王寺)ㆍ성전(成典)ㆍ감은사(感恩寺) 성전(成典)ㆍ봉덕사(奉德寺) 성전(成典)ㆍ어룡성(御龍省)의 버금 벼슬. 위계(位階)는 아찬(阿湌)으로부터 내마(柰麻)까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