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회 성직(聖職)

함창석
  • 1559
  • 2018-10-10 21:52:12
성직(聖職)

산돌 함창석 장로

예전에는 교육에 종사하는 교직을 성직이라고 말하여 오기도 하였다. 또한 교회에서 규정된 규범에 따라 하나님께 봉사하는 직무나 직분이다. 기독교 교회의 선교사, 목사, 장로, 집사 따위이다. 직업이 있다면 무보수로 맡은 일을, 직업이 없다면 최소한의 생활을 위한 사례비를 받고 그 직을 수행한다.

聖은 당시대에 걸출한 인물로 사리에 잘 통하며 모범적인 삶을 살기에 존엄성을 지닌다. 종교적 사물이나 종교의 본질을 규정하는 독자적 성질 또는 가치이다. 곧 초월적 존재로서의 신, 또는 신성의 숭엄ㆍ능력 및 접근 불능을 나타내며 큰 공로자의 이름 위에 덧붙여 존경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職은 관직ㆍ직업ㆍ직책ㆍ직무ㆍ직위를 말한다. 뜻을 나타내는 귀이(耳 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나뭇가지를 땅에 세우다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戠(직)으로 이루어지고 가게에서 장사의 종류(種類)를 사람에게 나타내기 위해 장대에 다는 작은 기의 뜻으로 전(轉)하여 직업이 되었다.

성직은 교회의 위계질서에 의해 사람들에게 부여된 공식적인 역할이다. 성직자로서 개인은 성사를 집행하고 관리하는 배타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교회의 상징적인 행사를 주관한다. 예언자처럼 신으로부터 개인의 부름에 대답한다. 그러나 예언자와는 달리 교회의 권위에 의해 승인되는 것이다.

구약시기에 가장 높은 성직자는 신성한 성서와 교리에 정통하였던 사람들이었다. 서구에서 성직은 로마가톨릭, 동방정교와 성공회에만 있다. 이 종파 중에서 하나만이 여성을 성직에 임명할 수 있었다. 이유는 예수가 오직 남성에게만 자신의 능력을 보여 줄 권리를 부여하였다고 믿었다는 데 있다.

모든 종교에서의 성직은 거룩한 직분이다. 종교상의 교직(敎職)으로는 교무ㆍ스님ㆍ신부ㆍ목사, 이맘 등이다. 신성하고 거룩한 직분ㆍ직책으로 성스러운 마음으로 종사하는 직분이다. 이 경우는 넓은 의미의 성직으로서 어떠한 직업에 종사하든지 성직의식ㆍ천직의식을 갖고 무아 봉공하는 경우를 말한다.

성직은 종교의 규칙과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신앙의 대상에게 봉사하는 직무 직분이다. 넓은 의미에서 하나님의 사람으로 부름 받은 자들이 부여받은 모든 직무(직분)를 성직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성직자는 이러한 것들을 물론 알아야 하지만, 여기에 덧붙여서 상담자의 역할을 한다.

시몬은 사도들의 안수로 영이 주어지는 것을 보고 사도들에게 돈을 가지고 와서는 ‘나에게도 그런 권능을 주어 내가 손을 얹는 사람마다 성령을 받도록 해 주시오.’ 그러자 베드로는 시몬에게 ‘당신은 돈으로 하나님의 선물을 살 작정을 하였으니 당신의 은전은 당신과 함께 망해야 할 것이오.’ 하였다.

시몬의 이름에 따라 성물, 성사, 준성사, 서품, 강복, 특히 교회의 직책과 성직록을 매매하는 행위를 ‘성직 매매’라고 한다. 이러한 성직 매매는 교회사 안에서 대단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교황 그레고리오 6세는 1045년 거액을 지불하고 자신의 전임 교황 베네딕토 9세로부터 교황직을 사들였다.

14세기 말부터 유럽에서는 교회의 세속화 현상과 그것에 따른 부패 현상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 당시 가톨릭교회는 교회소유 토지에 대한 과세권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십일조를 비롯한 각종 세금과 수수료도 징수하고 있었다. 이들은 금욕에 대한 규율을 무시하고 재산을 축적하는 데 주력했다.

10월 9일 화요일 밤 11시에 방송되는 이번 주 PD수첩의 예고편이 공개된다. 바로 명성교회가 부자세습도 모자라 무려 800억이라는 비자금을 가지고 있다는 내용이다. 명성교회 비자금을 관리하던 박모씨가 투신자살한 사건을 비롯하여 기독교 내의 갖은 부패와 사건사고들 중 하나이다.

이전 이경남 2018-10-10 공주에 가면
다음 도현종 2018-10-11 커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