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회 시험(試驗)

함창석
  • 1829
  • 2018-10-14 05:39:33
시험(試驗)

산돌 함창석 장로

시험을 참는 자는 복이 있도다. 이러한 용법은 성경에서 흔히 사용된 것(시1:1, 32:1, 잠8:32, 34, 사56:2)으로 예수께서도 사용하셨다(마5:3-11). "시험" peirasmoi'"(페이라스모이스)은 2절에서 사용한 "시련"과 같은 단어로 시험보다는 [시련]으로 번역되는 것이 좋다. 본 절은 2-11절과 연결된 것이며 13절의 '시험'(temptation)과는 다른 뜻이다.

이것에 옳다 인정하심을 받은 후에 주께서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생명의 면류관을 얻을 것임이니라. "인정하심을 받은" dovkimo"(도키모스) "인정된, 입증된"의 뜻으로 3절에서 사용된 단어와 같으며 금속물을 불에 단련시켜서 얻어낸, 제련된 것을 말한다. "약속하신 생명의 면류관"은 통치자의 왕관이나 고전9:25의 상급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우리의 죄가 대속 되고 이후에 부활하신 새 생명을 말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약속하신 것이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니"(요11:25-26)

사람이 시험을 받을 때에 내가 하나님께 시험을 받는다 하지 말지니 "시험" peirazovmeno"(페이라조메노스)은 2, 12절에 나오는 '시련'(trial)과 다른 '유혹'(temtation)을 말한다. !Apo; qeou'(아포 데우) '하나님으로부터' 시험의 근원, 시작점이 하나님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있다. 사람들은 시험을 받을 때 자신이 아브라함이나 욥처럼 하나님에 의해서 시험받는다고 생각하곤 한다. 하나님께서는 그와 같이 시험을 허락하신 적은 있지만 하나님 자신이 악한 시험의 근원이 될 수 없으며 2, 12절에서 말한 그런 시련을 주시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은 악에게 시험을 받지도 아니하시고 친히 아무도 시험하지 아니하시느니라. 하나님은 악한 시험을 만드시지도 않으셨으며 또한 그런 시험(유혹)을 하지도 않으신다. 아울러 하나님 자신도 그런 시험을 전혀 받지도 않는다. 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 그렇다면 이런 시험의 원인은 무엇일까? 그것은 "욕심" ejpiqumiva"(에피뒤미아스) "악한 것에 대한 열망"(롬7:17-23, 갈5:16-21, 엡2:3, 살전4:5)으로 "미혹" deleazovmeno"(델레아조메노스)되기 때문이다. 이 뜻은 "함정에 빠지다"로 사냥할 때의 올가미나 함정, 낚시할 때 물고기를 유혹하는 낚시 밥에 물려 이리저리 끌려 다니는 것을 뜻한다.

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야고보는 여자가 아이를 임신하고 낳는 것을 비유하여 죄가 욕심으로 생겨난다는 것을 설명한다. "욕심이 잉태한즉"은 문학적인 표현이고 "죄를 낳고"는 의학적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 야고보는 죄는 어떤 특정한 하나가 죄가 아니라 죄는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생겨나게 되고 이것은 점점 커져서 결국은 사망에 이른다는 점진적 단계로 설명했다. "장성한즉" ajpotelesqei'sa(아포텔레시데이사) 성경에서 여기서만 언급된 단어로 야고보가 죄의 결과로 이끄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어로 만들어 사용한 것 같다. 이 뜻은 "결국은 끝내다, 마치다"는 말로 RSV에서는 '종착역에 다다르면'이라고 번역했다. 표준새번역과 현대인의성경은 '죄가 자라면'이라고 했다.

좀더 의역한다면 [죄가 성장하여 결국은] 또는 [죄가 성장한 끝은]이라고 해도 된다. "죽음" qavnaton(다나톤)이다.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이 내 말을 지키면 죽음을 영원히 보지 아니하리라"(요8:51)와 대조되는 말씀이다. ‘사람이 내 말을 지키면 영원히 죽음을 보지 아니하리라.’ ‘죽음을 결코 영원히 경험하지 아니하리라.’ 즉 믿는 사람에게는 하나님과 결별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전 함영희 2018-10-14 소식과 나눔 관리자에게 질문합니다
다음 이윤주 2018-10-14 얼척이 없내요.(주문진교회 재판을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