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감리회 물격(物格)
함창석
- 1141
- 2018-11-10 18:31:15
산돌 함창석 징로
물격(物格)은 객체와 같은 의미로 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이며 문장 내에서 동사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이고 작용의 대상이 되는 쪽이다. 사람이 지배하고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구체적 물건. 민법 상(上), 유체물 및 전기(電氣) 그 밖에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으로 사권(私權)의 객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좁은 뜻으로는, 외계에 있어서의 우리들의 감각에 의(依)해서 지각할 수 있는 사물, 시간, 공간 가운데 있는 물체적, 물질적인 것이다. 넓은 뜻으로는, 단순한 사고의 대상이건,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이건을 불문하고, 일반으로 어떠한 존재, 어떤 대상 또는 어떤 판단의 주어(主語)가 되는 일체(一切)의 것이다.
物은 뜻을 나타내는 소우(牛(=牜) 소)部와 음을 나타내며 勿(물)이 합(合)하여 이루어지며 만물(萬物)을 대표하는 것으로 소(牛)를 지목하여 「만물」을 뜻하고 勿(물)은 旗(기), 천자(天子)나 대장의 기는 아니고 보통(普通) 무사(武士)가 세우는 색이 섞여 있는 것, 여기에서는 색이 섞여 있음을 나타낸다.
物(물)은 얼룩소, 나중에 여러 가지 물건(物件)이란 뜻을 나타낸다. 그러나 옛 모양은 흙을 갈아엎고 있는 쟁기의 모양과 牛(우 소)로 이루어져 밭을 가는 소를 나타내었으며 나중에 모양이 닮은 勿(물)이란 자형(字形)을 쓰게 된 것이다.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보다는 뜻으로 견주다다.
「격물보전」의 문맥상 물격(物格)은 ‘온갖 사물의 표리정조의 전체가 파악된다.’는 것이다. 주희에 따르면, 격물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그 극치를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니, 노력과 공부의 측면을 지칭하고, 물격은 격물을 추구한 결과의 상태 즉 물리의 극처(極處)가 전부 파악된 경지를 지칭했다.
물격과 같은 객체는 주체에 반대되는 말로 객관과 거의 동일한 뜻으로 일반적 대상, 사상(事象), 주체와 연관됨으로써 이 주체의 행위가 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좁은 뜻에서 인식론적으로 보면 경험을 통해서 의식에 주어진 대상 또는 인식 주체와의 관계에서 본 실재(實在)라는 것이 된다.
IT용어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이나 설계에서, 데이터(실체)와 그 데이터에 관련되는 동작(절차, 방법, 기능)을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기차역에서 승차권을 발매하는 경우, 실체인 ‘손님’과 동작인 ‘승차권 주문’은 하나의 객체이다. 실체인 ‘역무원’과 동작인 ‘승차권 발매’도 하나의 객체이다.
용모(容貌)는 사람의 얼굴 모양을 뜻한다. 비슷한 말로 외모가 있다. 외모는 얼굴과 몸매 모두를 두고하는 말이다. 또한 풍모라는 말도 있는데, 풍모는 얼굴 · 몸매 · 복장 · 태도 등을 종합한 외형의 것으로, 얼굴이 아니라 몸매나 복장에 주로 가리키는 말이다. 문화에 따라 선호하는 외모는 전혀 다르다.
현대에서 자신의 용모에 대해 신경쓰는 사람이 많으며, 성형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또한 헤어스타일이나 패션에 따라 외형의 외모는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처럼 개개인의 외모가 다른 것으로, 인간의 다양성을 만들어 내고 있다. 외모의 차이는 유전적인 것도 있고, 연령이나 질병에 의한 것도 있다.
화 있을 진저 피의 성이여 그 안에는 거짓이 가득하고 포악이 가득하며 탈취가 떠나지 아니하는 도다. 죽임 당한 자의 떼, 주검의 큰 무더기, 무수한 시체여 사람이 그 시체에 걸려 넘어지니 이는 마술에 능숙한 미모의 음녀가 많은 음행을 함이라. 그가 그의 음행으로 여러 나라를 미혹하느니라.
물격인 미모(美貌)는 외모가 우아하고 보기에 좋음을 뜻한다. 성경에서는 주변 국가들을 우상 숭배로 이끄는 니느웨의 죄목 가운데 하나로 언급되고 있는데, 이때 니느웨는 온갖 화려한 장신구로 치장하고 어리석은 남자를 유혹하는 창녀에 비유된다. 성경 나훔 개역한글판은 ‘아리따움’으로 묘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