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하나님의 질문 18가지 /2월3일주/주현후제4주/강단초록/은급주일.

박영규
  • 1532
  • 2019-02-01 22:54:02
www.seouljejach.co.kr
blog.naver.com/amenpark

설교-하나님의 질문 18가지에 답변하세요.
성경-창세기3:9절.
오늘은 하나님과 예수님께서 질문하신데 대해 우리가 어떻게 답변을 할 것인가?를 전해드리겠습니다.

1.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창3:9)
선악과를 따먹은 아담과 하와가 무화과나무 아래 숨었을 때 하나님께서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 고 질문을 하셨습니다. 지금 우리가 어디에 있습니까? 아브라함이 모리아 산에 있었던 것처럼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장소에 있습니까? 주일날 어디에 있습니까? 수요일 저녁 예배시간에 어디에 있습니까?
새벽예배 시간에 어디에 있습니까?

2.아벨이 어디에 있느냐?(창4:9)
가인이 아벨을 제사문제로 시기하여 해친 후에 하나님께서 가인에게 네 아우 아벨이 어디 있느냐? 고 질문을 하셨을 때 가인은 모른다고 했습니다. 여러분의 형제자매가 어디에 있습니까? 교회에 나오십니까? 아니면 세상길로 가고 있습니까? 부모님과 형제자매 친구들과 일가친척 그리고 친지와 이웃을 하나님께로 인도해야 하겠습니다.

3.네 이름이 무엇이냐?(창32:27)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질문하신 내용입니다. 하나님께서 얍복 강가에서 형에서가 두려워 기도할 때 야곱의 이름을 이스라엘로 바꿔주셨습니다.

4.네게 무엇을 줄까? 너는 구하라(왕상3:4-15)
BC970년 경 솔로몬 왕이 성전을 건축하기 전에 기브온 산당에서 일천번제를 마친 날 밤에 기브온에서 솔로몬에게 꿈에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하신 질문입니다. 솔로몬이 백성들을 다스릴 수 있는 지혜를 달라고 하나님께 구하니 하나님의 마음에 들어 하나님께서 솔로몬에게 구한 지혜도 주시고 구하지 않은 부와 영광과 전무후무한 축복을 약속으로 보장해 주셨습니다. 하나님께 이런 질문을 받을 수 있는 저와 여러분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5.네가 왜 여기에 있느냐?(왕상19:13)
[시내]산 굴에 있는 엘리야에게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하신 질문입니다. 여기에 머무르지 말고 [하사엘]을 아람 왕으로 세우고 [예후]를 이스라엘 왕으로 세우고 바알 우상에게 무릎을 꿇지 않은 7,000명을 목회 하라고 하셨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사명을 잘 감당해야합니다.

6.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사6:8)
하나님께서 이사야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누가 하나님을 위해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곳에 이사야처럼 선뜻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주소서 라고 대답을 하겠습니까?

7.뼈들이 능히 살겠느냐?(겔37:3)
하나님께서 골짜기의 뼈를 보여주시며 에스겔 선지자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이스라엘 백성들의 영적인 모습인 뼈를 보여주시며 뼈들이 능히 살 수 있겠느냐? 는 하나님의 질문에 에스겔 선지자는 주 여호와여 주께서 아신다고 대답을 했습니다. 뼈들이 에스겔이 전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하나님의 생기인 성령을 받고 하나님의 군대가 되어 바벨론 포로에서 해방이 되어 예루살렘으로 귀환하여 무너진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였습니다(BC532년 경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1차 귀환)

8.왜 무서워하느냐?(마8:23-27)
갈릴리 바다에 풍랑이 일어나 배가 뒤집힐 위기에 처하자 제자들이 우리가 죽게 되었으니 구원해 달라고 주무시는 예수님을 깨웠을 때 주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생명의 주님을 모시고 살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주 예수님께서 성령으로 우리 속에 계심을 믿으시기를 바랍니다.

9.이 일을 할 줄을 믿느냐?(마9:27-31)
예수님께서 두 맹인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맹인들이 주여 그러하오이다 하니 예수께서 그들의 눈을 만지시며 너희 믿음대로 되라 하시니 장님 둘이 눈을 뜨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믿음을 통해 기적을 일으키십니다. 주님께서 우리의 영안을 열어주셔서 하나님의 세계를 보기를 원합니다.

10.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마16장)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베드로 사도가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라 고 고백을 했을 때 예수님께서 하나님께서 이를 알게 하셨다고 말씀을 하시며 천국의 열쇠를 상징적으로 베드로 사도에게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인류의 메시야 시며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11.나와 함께 깨어 있을 수 없더냐?(마26:36-45)
겟세마네 동산에서 주님께서 십자가를 결정하시는 기도를 드리실 때 제자들에게 주님께서 깨어 기도하라고 부탁을 하셨는데 주님께서 보시니 두 번이나 제자들이 자고 있었습니다. 기도를 마치신 후 주님께서 대제사장의 하속들에게 잡혀가셨습니다. 주님의 교회와 목회자의 목회와 영혼구원을 위해 깨어 기도를 드리시기 바랍니다.

12.네가 낫고자 하느냐?(요5장)
예수님께서 베데스다 연못가에 홀로 누워있는 38년 된 병자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예수님께서 38년 된 병자를 찾아가셔서 고쳐주셨습니다. 오래된 지병, 고질병을 예수님께서 고쳐주십니다. 예수님께서 각색병자를 낫게 하십니다.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의 치료를 받으시기를 축원합니다.

13.너희도 가려느냐?(요6:67-71)
오병이어의 기적과 물위로 걸으신 예수님을 알고 있는 많은 제자들이 예수님을 떠나자 예수님께서 12제자들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베드로 사도가 영생의 말씀이 주께 있으니 우리가 누구에게로 가리이까? 라고 대답을 했습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너희 중에 한 사람은 마귀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주님께서 가룟 유다를 마귀 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마귀는 사탄입니다.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사탄아 물러가라고 하셨습니다(마태16:23)

우리가 마귀, 사탄 짓 하면 안 됩니다. 하나님의 사람, 성령의 사람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교회의 부흥발전과 영혼구원의 삶을 살아야합니다.

14.너를 고발하던 그들이 어디 있느냐?(요8:10)
간음하다가 현장에서 잡힌 여인을 돌로 치려고 예수님께 끌고 와 예수님을 시험하던 자들이 예수님의 말씀과 땅바닥에 쓰신 글 내용 때문에 돌을 버리고 슬금슬금 도망간 후에 여인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예수님께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 고 하시며 여인을 용서해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는 분입니다.

15.이것을 네가 믿느냐?(요11:26)
예수님께서 나사로의 누이동생 마르다에게 영원히 죽지 않는 것을 믿느냐? 고 하신 질문입니다. 마르다는 그러합니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세상에 오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는다고 대답을 하였습니다.

예수님께서 나사로의 무덤에 가셔서 나사로를 죽음에서 부활시켜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부활이시며 생명이십니다. 예수님의 음성을 들으면 생명의 부활을 하게 됩니다(요5장)

16.어찌하여 울며 누구를 찾느냐?(요20:1-18)
새벽에 예수님의 무덤에 달려간 마리아가 빈 무덤을 보고 천사들을 만난 후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마리아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마리아는 동산지기인 줄 알고 예수님의 시신을 모시고 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예수님께서 마리아야 하시니 마리아가 주님이신 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막달라 마리아가 부활의 주님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제자들에게 달려가 예수님의 부활의 소식을 전했습니다. 여러분들도 부활의 주님을 만나시기를 축원합니다.

17.네가 이 사람들 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요21:15)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갈릴리 해변까지 찾아가셔서 다른 제자들 앞에서 시몬 베드로에게 하신 질문입니다. 베드로가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 주님께서 아신다고 대답을 했습니다.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 보다 주님을 더 사랑하십니까?

18.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
기독교인들을 핍박하려고 다메섹[다마스커스]로 가던 길에서 부활의 주님께서 사울의 이름을 두 번 부르시며 하신 질문입니다. 사울이 누구시냐고 물었을 때 주님께서 나는 네가 박해하는 예수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사울의 이름을 부르신 것처럼 저와 여러분들의 이름을 기억하시고 불러주시고 생명책에 기록해 주시기를 축원합니다.

오늘 하나님과 예수님의 질문 18가지를 들으셨습니다. 하나님과 예수님의 질문에 대해서 하나님의 신 그리스도의 영 성령의 지혜와 믿음으로 정답을 말할 수 있는 저와 여러분들이 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서울 제자 감리 교회 담임 목사 박 영 규
*한국 위안부 피해자소녀 기념교회 설립추진목사

이전 최상철 2019-02-01 지방회를 앞두고 지켜야 할 장정
다음 이경남 2019-02-02 한국 사회 liberal left의 추락이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