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감리회 주년(週年)
함창석
- 1139
- 2019-03-17 02:39:06
산돌 함창석 장로
주년은 일 년을 단위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이다. 週는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를 말한다.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주위를 둘러 「싸다」의 뜻(주)을 가지는 周(주)로 이루어지며, 「돌아다니다」, 바뀌어 「돌다」의 뜻이다. 周는 用(용 쓰다)과 口(구 입)의 합자이며 본디 뜻은 입을 잘 써서 말을 삼가는 일을 말함이며 전하여, 周密(주밀)의 뜻을 나타낸다.
周자는 ‘두루’나 ‘골고루’, ‘둘레’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周자는 논밭을 그린 상형문자이다. 周자의 갑골문을 보면 田(밭 전)자에 점을 찍어놓은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밭의 둘레를 표현한 것이다. 당시 논밭을 뜻하던 田자가 단순히 밭의 도랑만을 그린 것이었다면 周자는 밭의 둘레를 표현하기 위해 벼가 심겨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었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口(입 구)자가 더해지게 된다.
年자는 ‘해’나 ‘나이’, ‘새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干(방패 간)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방패’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禾(벼 화)자와 人(사람 인)자가 결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年은 禾(화)는 벼, 음(音)을 나타내는 人(인) 또는 千(천)은 많음을 나타내고 年(연)은 가을에 많은 수확(收穫)이 있음, 익다, 나중에 벼가 자라는 기간에서 연월(年月)의 해란 뜻으로 쓰고, 익다의 뜻은 稔(임)으로 쓰였다.
年은 때, 시대, 연령, 콧마루, 오곡이 잘 익다, 아첨하다(阿諂--) 등의 뜻이다. 年자의 갑골문을 보면 人자 위로 禾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볏단을 등에 지고 가는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볏단을 등에 지고 간다는 것은 수확을 마쳤다는 뜻이다. 농부들에게 한 해의 마무리는 당연히 추수가 끝나는 시점일 것이다. 그래서 年자는 한해가 마무리되었다는 의미에서 ‘해’나 ‘새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생후 일주년을 돌이라 한다. 돌이라는 말은 아이의 나이를 표시하는 말로도 쓰여서 ‘한 돌을 맞았다.’, ‘두 돌을 잡혔다.’, ‘세 돌이 된다.’ 할 때에는 아이의 나이를 표시하는 말이 된다. 그러나 그냥 돌이라고 할 때에는 아이의 첫돌을 일컫는 말로 간주된다. 아이가 출생하여 꼭 1년이 되는 첫 생일날을 돌이라 하여 빈부귀천이나 경향(京鄕)의 지역적 차이 없이 누구나 아이를 위한 돌잔치를 지내준다.
압살롬이 살았을 때에 자기를 위하여 한 비석을 마련하여 세웠으니 자기 이름을 전할 아들이 내게 없다고 말하였음이더라. 자기 이름을 기념하여 그 비석에 이름을 붙였으며 그 비석이 왕의 골짜기에 있고 이제까지 그것을 압살롬의 기념비라 일컫더라. 여호와께서 그것을 분명히 들으시고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와 그 이름을 존중히 여기는 자를 위하여 여호와 앞에 있는 기념 책에 기록하셨느니라.
성경에는 40년이 의미 있는 해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일반적으로 개교 100주년은 기념식을 갖는 등 성대하게 보내기도 한다. 결혼 25주년을 은혼, 결혼 50주년을 금혼, 결혼 75주년을 금강(다이아몬드)혼이라고 한다. 결혼기념일은 부부가 결혼한 날을 기념하여 축하하는 날로서, 19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주로 유럽의 그리스도교 국가에서 매년 결혼한 날에 축하예배를 하던 것에서 유래된다.
100년이라는 기간은 1세기라고도 한다. 결혼 50주년을 기념하는 금혼식은 25주년 기념일인 은혼식과 함께 대표적인 결혼기념일 행사이다. 금혼식 때는 결혼식 때 참석했던 손님들을 초대해서 파티를 열고, 부부는 신랑신부로 불리며 각자 결혼식 때 사용했던 물건을 한 가지씩 몸에 지닌다. 신랑은 신부에게 순금으로 된 물건이나 보석을 선물로 주고, 가족과 친구들도 신부에게 기념품과 꽃을 준다.
1918년 11월 15일 개교한 광주초등학교는 2018년 11월 15일이 개교 100주년이었다. 2014년 7월에 100주년 기념추진위원회를 조직하고 윤용계 위원장과 김진오 사무총장을 추대하였다. 그 후 역사관설치, 100주 년사 발간, 기념조형물설치, 역사진로특강, 기념행사 등 기념사업을 기획하고 송민호 교장은 2018년 교육과정에 반영운영하며 2019년 2월 15일 100주 년사 발간을 마지막으로 끝을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