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요단강의 영적인 의미와 축복/5월5일주/부활절 후 제3주/어린이날,어린이주일/강단백색.

박영규
  • 1685
  • 2019-05-04 20:02:50
www.seouljejach.co.kr
blog.naver.com/amenpark
설교-요단강의 영적의미와 축복
성경-마태복음3:13-17절

영어로 요단 Jordan 을 조르단 이라고 발음을 하며 히브리어로 요단을 [야르덴]이라고 발음을 하며 그 뜻은 애통, 애곡, 흐른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요단강은 레바논의 헤르몬 산(헬몬)에서 발원하여 남쪽 사해까지 이릅니다. 직선거리는 217km지만 굴곡에 의한 길이는 400km정도가 되며 급류가 심한 곳이 많습니다. 오늘은 요단강의 축복이라는 제목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드리겠습니다. 요단강과 요단강 주변에서 일어난 성경의 말씀을 전해 드리고자합니다.
요단강은
1)성경 본문대로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신 곳입니다(마3:13)
죄 없으신 예수님께서 겸손하게 우리에게 모범을 보이시려고 세례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곳입니다.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실 때 성령이 비둘기 같이 임하시고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고 하나님께서 말씀을 하셨습니다. 성령이 임하시고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곳입니다.

2)요단강을 건너가야 아름다운 땅과 아름다운 산을 볼 수가 있고 하나님께서 주신다고 약속하신 땅을차지 할 수가 있습니다(신3:25) 요셉은 유언대로 이스라엘 백성들과 함께 사후에 요단강을 건넜으며 모세도 부활하여 변화 산에서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3)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널 때 제사장들이 법궤를 메고 요단강에 들어서니 홍해가 갈라진 것처럼 요단강이 갈라지고 육지 같이 건너게 되었습니다(수3:14-17, 수5:1)

4)엘리야가 겉옷으로 요단강을 치니까 요단강이 갈라져서 육지 같이 엘리야와 엘리사가 요단강을 건너 엘리야가 요단강가에서 불 병거를 타고 승천을 하였습니다. 요단강을 건너 하나님의 나라 천국으로 승천하였습니다(왕하2:8-11) 2008년 성지순례 때 엘리야의 승천교회를 방문하여 큰 은혜를 받았습니다. 교회 안과 밖에 엘리야가 불 병거를 타고 승천하는 벽화를 보니 실감이 났습니다.

5)엘리사가 엘리야의 몸에서 떨어진 옷으로 요단강 물을 치며 엘리야의 하나님을 불렀을 때 요단강이 갈라졌습니다(왕하2:14) 엘리사는 엘리야의 능력을 갑절이나 받았습니다. 성령의 지혜와 권능을 받읍시다.

6)아람나라의 군대장관(국방장관) 나아만이 엘리사 선지자의 말대로 요단강에 일곱 번 몸을 씻어 한센병이 깨끗하게 나았습니다(왕하5:10-14)

7)엘리사가 요단에 빠진 도끼를 떠오르게 하였습니다(왕하6:4-6) 선지자의 제자가 엘리사와 함께 집을 지을 나무를 하러 갔다가 요단강에 빌려온 도끼가 빠져 고민 할 때에 엘리야가 하나님의 능력으로 도끼를 떠오르게 하여 찾아주었습니다.

8)세례 요한이 요단강에서 죄 사함을 얻게 하는 세례를 베풀었습니다(막1:4-5)

9)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요단강을 건너 하나님께서 도우심으로 여리고를 정복하고 가나안 땅을 정복하고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파별로 땅을 분배 받았습니다(수3:7,4:14) 예수님께서 주님의 종들과 성도들을 하나님의 나라로 이끌어 주실 것입니다.

10)요단강을 건너가서 하나님께서 기업으로 주시는 땅에서 살게 될 때 하나님께서 사방의 대적을 이기게 하시고 안식을 주시고 평안히 거주하게 하실 때 하나님께서 지정하신 장소로 희생제물과 십일조와 서원예물을 가지고 가서 하나님 앞에서 즐거워 할 것이며 그 땅에 거주 하는 동안 레위 인을 저버리지 말라 고 하셨습니다(신12:10-19) 하나님께서 적들을 이기게 하시고 안식을 주시고 평안을 주신다고 약속을 하셨습니다.

요단강은 기독교인들이 영적으로 건너야할 강입니다. 요단강에서 일어난 기적이 우리의 삶속에서도 일어나야합니다. 요단강은 북쪽 나라 레바논의 헬몬 산에서 발원하여 요단강 원류를 거쳐 갈릴리 바다에 흘러들어가 가나안 땅, 팔레스틴을 북에서 남쪽 사해바다로 흘러들어가며 현재의 이스라엘과 요르단 나라의 땅을 비옥하게 하고 사람들이 먹는 물을 제공해 주고 있는 마르지 않는 생명의 강입니다. 요단의 발원지인 헬몬 산은 스폰지처럼 미세한구멍이 있는 바위산으로 눈과 비를 흡수해서 요단 원류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요단강이 마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주님의 교회와 가정과 우리들의 발원지가 하나님의 나라 생명강과 생명수이신 예수님이심을 믿으시기를 축원합니다.
----------------------
아래 팔레스틴(Palestine)에 대한 자료 출처- 네이버(한국컴퓨터선교회 제공)/-예전에는 가나안이라 부르다가 이스라엘이라 부르고 바벨론에서 돌아 온후는 유대라 불렀고 기독교가 발생 후부터 성지라는 칭호가 생겼다.팔레스틴이라 부르는 땅은 북은 단, 남은 브엘세바, 동은 요단강, 서는 지중해로 남북이 225km 넓이는 북방이 40km 남방이 144km 면적 15,540Km2로 우리나라의 경기도 보다 조금 크다.인구는 가장 번성하였던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약 200만 내지 300만으로 추측된다.1948년 독립 당시에 이스라엘인만 겨우 65만이었다.
이 지역내에서는 최고지가 1,219 m, 북 헤르몬산은 2,852m로 사시 백설에 덮혀있고 이 산에 발원하여 흐르는 요단강은 깊은 계곡을 이루고 사해는 지중해 수면보다 390m나 낮다.이와 같은 지역의 환경으로 그 기후도 여러가지로 변동이 많고 동식물 분포도 한대에서 열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이 팔레스틴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 하여 사막에 사는 사람들은 대단히 부러워 하고 있다(출3:8,17, 13:5, 33:3, 레20:24, 민13:27, 14:8, 16:13, 14, 13 신26:9, 15 렘11:5, 32:22, 겔20:6, 15,). 이상 팔레스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자료출처-(한국컴퓨터선교회제공
----------------------
요단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자료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요단 강 [Jordan river] (라이프성경사전, 2006. 8. 15., 가스펠서브)
‘아래로 흐르는 것’, ‘빨리 흘러내리는 시내’, ‘단(Dan)에서 흐른다’는 뜻. 레바논 북쪽 헤르몬 산(약 2,769m)에서 발원하여 훌레 호수(너비 약 3.2㎞, 길이 약 4.8㎞)로 흘러들었다가, 다시 16㎞ 정도를 흘러 갈릴리 호수로 접어들고, 갈릴리 호수를 거쳐 팔레스타인을 종단하여 최종 종착지인 사해로 흘러 들어간다. 강의 전장(全長)은 약 130㎞이지만 구불구불한 굴곡을 모두 측정하면 약 320㎞가 넘는다.갈릴리 호수(지중해 수면보다 약 210m 낮음)와 사해(해수면보다 약 398.5m 낮음) 사이의 낙폭이 약 188m나 되는 관계로(평균 낙차는 1㎞당 약 1.8m) 중간중간에 27개의 크고 작은 폭포소가 형성되고 급류와 소용돌이가 생겨난다. 더욱이 강폭이 좁고 강바닥이 얕으며 곳곳에 깊은 홈이 파져 있고, 우기(雨期)에는 물이 범람하지만 건기(乾期)에는 수심이 90㎝도 채 되지 않기 때문에 배로 건너기도 어렵고 걷거나 헤엄쳐서 건너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강 중간 중간에 겨우 건널만한 나룻터가 있어 그곳을 통해 강 좌우로 이동했다.
성경에 언급된 요단 강
성경에는 아브라함과 조카 롯이 갈라설 때 롯이 택한 곳을 ‘요단 들’이라 한 데서 요단 강이 처음 언급되었다(창 13:10). 그 이후 야곱이 아람에서 귀향할 때 이곳을 건넜고(창 13:10), 여호수아의 지휘로 출애굽한 이스라엘이 이곳을 건너 가나안으로 진격했으며(수 1:2; 3:1-17), 사사 기드온이 미디안 군대를 무찌른 곳이자(삿 7:24-25), 사울 왕이 블레셋과 전투를 벌인 곳이며(삼상 31:7), 다윗이 압살롬의 난을 피해 이곳을 건넜고(삼하 17:22), 엘리야와 엘리사가 건넜으며(왕하 2:7-14), 엘리사의 지시로 아람 장군 나아만이 일곱 번 목욕하여 나병을 치료받았고(왕하 5:1-14), 엘리사가 물에 빠진 쇠도끼 날을 떠오르게 했으며(왕하 6:1-7), 신약 시대에는 이곳에서 세례가 베풀어지기도 했다. 즉 세례 요한은 이곳을 중심하여 사역하며 물 세례를 베풀었고(마 3:6; 막 1:5; 요 1:28; 3:26; 10:40), 예수께서도 이곳에서 세례를 받으셨다(마 3:13; 막 1:9; 눅 4:1).
요단강의 영적인 의미
약속의 땅 가나안의 동편 경계를 이루는 요단 강은(민 34:12), 죄를 씻는 곳이요(막 1:4-5), 죄악 세상에서 천국으로 건너가는 곳이며(왕하 2:8, 11), 복된 처소로 들어가는 통과 문이고(신 3:25), 하나님이 예비하신 처소에 이르는 길목이자(신 11:31; 12:10), 옛 자아가 죽고 거듭나는 곳(요 3:22-23)이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이상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요단 강 [Jordan river]
--------------------------------------------------
*서울 제자 감리 교회 담임 목사 박 영 규
*한국 위안부소녀 기념교회 설립 추진목사
*동대문 남은 자들 교회 지도목사.

이전 현종서 2019-05-04 정치와 국제관계속에서도 기적은 일어날 수 있다.
다음 박영규 2019-05-04 어린이주일설교-어린이를 어떻게 양육하고 대할까?/5월5일주/강단백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