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내 말을 점검해야 할 시간
장광호
- 1809
- 2019-10-05 00:35:11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 대답은 간단하다.
믿음이 다르기 때문이다.
믿음은 한자로 믿을 신(信).
이 한자를 풀어서 보면 사람인(人) + 말씀 언(言).
사람에게 말이 붙어 있는 형상이다.
곧 사람에게 들어온 말이 그 사람의 믿음이라는 뜻이다.
성경도 믿음은 들음에서 난다고 했으니 완전히 일치한다.
결국 누구든지 지금 현재의 내 믿음은 지금까지 내가 살아오면서 들어온 말들의 총합이 된다.
그 총합의 말들이 내 판단 기준이 되고 가치관이 된다.
나는 내가 들은 말이 옳다고 생각하기에 받아들이고 사용한다.
의도적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나는 항상 옳다고 생각하며 말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것이다.
그 옳고 그름의 판단을 내가 하는 것이 아니고 듣는 사람이 한다는 것.
듣는 사람이 그 들은 말을 옳다고 인정할 때라야 비로소 옳은 말이 된다.
물론 둘 다 틀릴 수도 있다.
둘다 무지하면 그렇게 된다.
듣는 이가 말하는 이의 의견에 설득 당하고 싶진 않지만
타당성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차원에서
우리는 같은 신앙 생활의 틀 안에서 살고 있다하더라도
실제로는 전혀 다른 믿음 속에서 이 사태를 바라보고 있다고 봐야한다.
같은 사안을 놓고 다른 믿음이 우리를 대결의 장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나는 과연 틀린 믿음일까?
아니면 다른 믿음일까?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내 속에 있는 말들을 점검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 스스로는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결국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말들을 대하면서 내가 지금 가진 말들과 비교해보고
그 합리성과 타당성을 따져보아야만 하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의견이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적처럼 싸울 일이 아니다.
하나가 옳기에 다른 쪽이 틀릴 수도 있고,
둘 다 틀릴 수도 있으며,
둘 다 옳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이 모든 것이 혼재된 순간이다.
인내하며 기다리는 동안
우리의 믿음이 흔들리며
제자리를 자리잡아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