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회 주신(主神)

함창석
  • 1213
  • 2020-02-09 06:43:21
주신(主神)

노아 홍수 후 하나님은 인류를 향해 창조 시에 내렸던 ‘땅에 충만 하라.’는 명령을 재차 내리셨다. 하지만, 인류는 흩어짐을 막고 자신들의 이름을 높이 드러내고자 시날 땅에서 하늘에 닿을 수 있도록 바벨탑을 쌓기 시작했다. 그러나 교만한 인간의 언어를 혼잡케 하신 하나님의 심판으로 바벨탑 건축은 중단되고 인류는 온 지면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벨(Bel)은 가나안의 바알과 같은 뜻으로 ‘주’(主)를 의미한다. 바벨론의 주신 ‘마르둑’(Marduk)의 히브리식 표현. ‘벨 므로닥’으로도 불린다. 태양, 바람, 폭풍을 주관하는 신. 바벨론 신화에 의하면 원래 수메르인의 신 ‘엔키’(Enki) 혹은 아카드인의 신 ‘에아’(Ea)의 장자로 알려졌으며, 처음에는 지위가 낮았으나 함무라비 시대 이후 바벨론의 최고신으로 숭배되었다.

성경에서 최초의 용사(용감한 사냥꾼)로 불린 니므롯이 시날 땅에 세운 바벨탑은 견고하게 구운 벽돌과 그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접착제로 역청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탑의 모양은 고대 바벨론인들의 신전 건축물(바벨론의 주신은 ‘마르둑’이었음)로 알려져 있는 지구라트(ziggurrat)처럼 상층부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지는 계단 모양의 구조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아브라함의 손자인 야곱의 이름이다. 이 이름이 족장 시대를 거쳐서 왕국 시대에 들어오면서 국가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이스라엘의 기원을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어왔는데, 존 브라이트(John Bright)는 그의 책 『이스라엘의 역사 A History of Israel』에서 그 역사를 다섯 시기로 나누고 있다.

처음 시기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과 같은 족장들을 통해서 이스라엘은 민족적인 집단이 아니라 야웨 종교를 중심으로 모인 혈연집단(血緣集團)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족장들의 후예 가운데 요셉이 이집트로 이주하고 난 후에 비로소 집단적 개념의 이스라엘이 생기기 시작했으며, 야웨 종교는 집단적인 이스라엘의 통치 종교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두 번째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 시기는 이스라엘 민족 형성에 가장 중요한 동기부여가 되었다. 출애굽할 때 이미 히브리인(Hebrew)이라고 하는 특정한 민족으로 분류되었고, 가나안을 정복하는 과정에서도 그들은 이미 히브리인들이라고 불렸다. 이것은 이미 다른 민족에 의해서 이스라엘이 특정한 정치적인 성격을 가진 집단으로 분류되고 있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세 번째 왕정 시대는 민족적인 개념을 더욱더 확고하게 했다. 다윗과 솔로몬으로 이어지는 시기에는 야웨이즘을 확고한 국가 통치의 철학으로 삼았으며, 이스라엘은 이미 사회적으로도 견고한 조직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도 확고한 시기를 지나게 된다. 야웨께 충성했던 왕들은 복을 받고 야웨께 불충했던 왕들은 매우 비극적인 최후를 맞게 된다.

네 번째 포로기와 그 이후 시대는 야웨 종교와 이스라엘 민족의 위기와 좌절의 역사이다. 야위스트들은 민족이 분단된 이유가 야웨께 충성하지 못하고 우상숭배를 했기 때문이라고 성서 여러 곳에서 지적하고 있다. 그 결과 북왕국 이스라엘은 기원전 722년에 앗시리아에 의해서, 남왕국 유다는 기원전 586년에 바빌론에 의해서 멸망하여 포로가 되고 말았다.

다섯 번째 시기 마카비는 셀류커스 왕조가 유대인들에 대한 박해를 감행하자 구체적인 독립운동을 계획했으며, 안티오커스 에피파네스의 성전 훼손 사건을 계기로 극단적 유다이즘 성향을 가진 유대교 지도자들이 혁명을 일으키기에 이른다. 성과가 있었으나 그 역시 내란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면서 후기 유대교의 역사는 길고 긴 암흑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는 약 1,500년 이상에 걸쳐서 계속되었으며 야웨와의 관계를 가장 중요한 위치에 놓고 있는 신정국가(神政國家)였음을 알 수 있다. 혈연집단을 이끌어 가는 정치적인 이데올로기가 야웨 종교였음을 부인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바빌론에는 국신 마르둑(Marduk)이 있었고 이집트에는 태양신 라(Ra)가 있었지만, 또한 수많은 다른 신들이 있었다.

이전 최호순 2020-02-09 고민하며 함께 나누길 원합니다.
다음 이경남 2020-02-09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