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회 사교(邪敎)

함창석
  • 1602
  • 2020-02-28 05:58:08
사교
邪交

시인 함창석 장로

邪자는 ‘간사하다’나 ‘사악하다’, ‘바르지 못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牙(어금니 아)자와 邑(고을 읍)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간사하다’라고 할 때는 ‘사’라고 하고 ‘그런가’라고 할 때는 ‘야’로 발음한다. 글자에 이빨을 드러낸 모습이 부정적이었는지 후에 ‘바르지 못하다’나 ‘사악하다’로 뜻으로 가차되었고 낭야군(琅邪郡)은 낭야군(琅琊郡)으로 표기하게 되었다.

맹자는 ‘자기보다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에게는 충성을 다하고 믿음이 있는 척하고 누구보다 깨끗한 척하니 욕할 것이 없고 누구나 칭찬을 하는 거야. 하지만 그런 사람들과는 같이 정치를 할 수 없지. 그런 사람은 워낙 말을 잘해서 정의가 아닌 것을 마치 정의인 것처럼 말할 수 있단 말이야. 그리고 말이 많은 사람은 미덥지 않아서 사이비라고 하는 것이니라.’ 하였다.

공자는 ‘나는 사이비(似而非), 즉 겉으로는 비슷하나 실제로 그렇지 않은 사람을 미워한다. 가라지는 잡초이지만 벼와 비슷해서 혼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싫어한다. 말을 교묘하게 잘하는 사람을 미워함은 그가 정의롭고 믿음직하게 보일까 두렵기 때문이다. 군자는 떳떳한 도리에 따를 뿐이다. 올바른 도리를 행하면 백성들도 따라오면 세상의 사악함도 없어진다.’ 하였다.

邪人은 공동체 안에서 인간관, 국가관, 세계관 등 가치관이 바르지 않아서 품행(品行)이 부정(不正)한 사람이다. 공익을 앞세우기보다는 사사(私私)로운 마음이 강하고 요사(妖邪)스러우며 나쁜 기운(氣運)이 느껴지고 거짓과 올바르지 않은 일을 하게 된다. 사람의 몸에서 병을 일으키게 하는 여러 가지 요인(要因) 따위를 통틀어 사(邪)나 사이비(似而非)라고 일컬음이다.

사이비는 진짜 같은 가짜이다. 사이비는 여기에서 비롯했다. 풀이하면 ‘똑같아 보이지만 틀리다’라는 뜻으로, 겉으로 보아서는 진짜 인듯하나 근본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가짜를 가리킨다. 공자는 사이비가 비슷해서 혼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더욱 경계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사이비 언론, 사이비 종교, 사이비 교주 등은 심심찮게 신문이나 뉴스에서 들을 수 있는 말이다.

근본이 옳지 못하고 사회에 해독을 끼치는 종교, 또는 그 나라의 도덕관이나 사회제도에 어긋나는 종교이다. 평가하는 입장과 기준에 따라 취급되는 종교는 여러 가지이다. 자기들이 믿고 있는 종교를 절대적으로 옳다고 하는 소박한 입장에서 배타적으로 그 이외의 모든 종교를 사교라고 보는 경우가 있다. 미개종교나 민족종교에서는 이교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종교집단의 교리·의례 제도가 확립되고 특정한 사회 안에서 지배적인 세력을 갖게 된 종교가 그 체제에 반항하는 종교를 사교로서 배척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일반적으로 종교의 개념을 기준으로 하여 불합리하고 해로운 작용을 하고 있는 종교를 사교로 보고 있다. 미신에 빠지거나 사신(邪神)으로 생각되는 신을 모시는 것을 음사(淫祠)사교라고 하는 입장에서이다.

사교는 기성 종교와 비슷하지만 사실상 종교를 사칭하여 신도들을 이용하는 중범죄 집단이다.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으며, 수많은 범죄와 사건사고를 저지른다. 일반적으로 사이비 종교와 강간, 금품 갈취, 사기 등의 범죄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교주의 신격화, 금품의 강요, 사이비 종교의 가치관을 보편적인 가치관 및 개인의 가치관보다 위에 둘 것을 강요한다.

기독교, 불교 등 기존 종교에서 떨어져 나온 경우가 많아서 얼핏 보기엔 그 모체인 종교와 닮아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모태 종교의 교리를 위반하고 신도들을 착취하기 위해 또는 사회에 악영향을 끼칠 형태로 재해석한 종교 아닌 종교다. 내부적으로는 탈퇴가 자유롭지 못한 경우는 100% 또 맹목적인 헌신(금품이나 성상납 등)을 강요할 경우는 사이비라 보면 된다.

이전 최세창 2020-02-28 국민에게 제대로 충성하는 사람은???
다음 함창석 2020-02-28 감리회 방송(放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