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감리회 장애(障碍)
함창석
- 1252
- 2020-03-07 01:33:32
視覺障碍
시각장애는 물체의 상이 굴절된 후 하나의 초점을 형성하여 상을 맺게 되는 부위가 어디냐가 중요한데 망막을 기준으로 망막 앞, 망막자체, 또는 망막 뒤냐에 따라 흔히 근시, 정시, 원시라고 부르는 굴절이상이 결정된다. 근시, 원시외도 난시, 사시, 색맹, 색약 등이 있다.
근시: 근시는 눈의 기능이 떨어져 가까운 물체는 뚜렷하게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물체는 또렷하게 보이지 않는 현상을 뜻한다. 근시를 가진 눈을 근시안이라고 한다. 근시의 원인은 물체의 상이 망막 앞쪽에 생기기 때문인데, 안구가 정상적인 안구보다 길거나, 각막 표면의 곡률이 너무 커서 광선이 각막을 지나면서 너무 많이 꺾이거나, 수정체가 충분히 펴지지 않아 광선이 수정체를 지나면서 너무 많이 꺾여서 그러한 상황이 벌어진다.
원시: 원시는 눈의 기능이 떨어져 먼 물체는 뚜렷하게 잘 보이지만, 가까이 있는 물체는 또렷하게 보이지 않는 현상을 뜻한다. 원시를 가진 눈을 원시안이라고 한다. 원시의 원인은 물체의 상이 망막 뒤쪽에 생기기 때문인데, 안구가 정상적인 안구보다 납작하거나, 각막 표면의 곡률이 충분히 크지 않아서 광선이 각막을 지나면서 덜 꺾이거나,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보려할 때 수정체가 충분히 압축되지 않아 광선이 수정체를 지나면서 덜 꺾여서 그러한 상황이 벌어진다.
난시: 난시란 눈에 들어간 빛이 각막이나 수정체 등 안광학계의 굴절이상으로 눈 안에 입사하는 평행광선이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고, 두 점 또는 그 이상의 초점을 갖는 눈의 굴절이상을 말한다. 먼 곳과 가까운 곳 양쪽에 대하여 모두 시력장애가 있고, 눈이 피로하기 쉬우며, 물건이 이중으로 보이기도 하고 두통이 생기기도 한다. 난시에는 정 난시와 부정 난시의 두 가지가 있는데, 보통 난시라고 하는 것은 정난시를 말한다.
사시: 사시는 어떤 물체를 주시할 때 한쪽 눈의 시선은 그 물체를 향해 있지만, 다른 눈은 그렇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 사시의 원인은 다양하며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알려진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굴절이상, 선천백내장, 망막이상 등 눈 질환, 외상, 뇌성마비 등과 같은 뇌질환, 눈을 움직이는 근육인 외안근 자체의 문제 또는 외안근을 지배하는 신경인 마비되는 질환 등이 있다. 또한 사시 자체가 유전되기보다는 사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이 유전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밖에도 환경적인 요인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색맹: 색맹 또는 색각 이상은 시력의 이상으로 색상을 정성적으로 구별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색각 이상이라고도 한다. 색맹은 많은 경우 선천적인 원인에 기인하나 드물게 후천적으로 황반 변성과 녹내장 등 전반적인 시력의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에 의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색약: 색을 분별하는 능력이 정상보다 부족한 증상으로 적색약, 녹색약이 있다. 망막 원뿔세포의 선천적 기능 이상 또는 후천적인 망막 원뿔세포의 손상이나 시각 경로의 이상으로 색깔을 정상적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밝은 곳에서 채도가 높은 색을 볼 때에는 정상인과 차이가 없으나, 채도가 낮은 경우에는 식별을 못 하거나, 단시간에 색을 분별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예수께서 ‘눈은 몸의 등불이니 그러므로 네 눈이 성하면 온 몸이 밝을 것이요. 눈이 나쁘면 온 몸이 어두울 것이니 그러므로 네게 있는 빛이 어두우면 그 어둠이 얼마나 더하겠느냐? 만일 네 눈이 너를 범죄를 하게 하거든 빼어 내버리라. 한 눈으로 영생에 들어가는 것이 두 눈을 가지고 지옥 불에 던져지는 것보다 나으니라.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네 눈 속에 들보가 있는데 어찌하여 형제에게 말하기를 나로 네 눈 속에 있는 티를 빼게 하라 하겠느냐? 외식하는 자여! 먼저 네 눈 속에서 들보를 빼어라. 그 후에야 밝히 보고 형제의 눈 속에서 티를 빼리라.’고 말씀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