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메서드】비단노정(緋緞路程)
함창석
- 1745
- 2020-03-20 22:39:08
緋緞路程
시인/ 함창석 장로
비단은 뽕나무 누에고치에서 뽑은
명주실로 짠 광택이 나는
피륙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가볍고 빛깔이 우아하며 촉감이 부드럽다.
노정은 목적지까지 거쳐 지나가는 길이나 과정이다.
내가 물로 네 피를 씻어 없애고 기름을 바르며
수놓은 옷을 입히고 물 돼지 가죽신을 신기며 가는 베로 두르고 모시로 덧입히며
네가 금, 은으로 장식하고 가는 베와 모시와 수놓은 것을 입으며
또 고운 밀가루와 꿀과 기름을 먹음으로 곱고 형통하리라.
그 상품은 금과 은과 보석과 진주와 세마포와 자주 옷감과 비단과 붉은 옷감이요.
각종 향목과 각종 상아 그릇이요.
값진 나무와 구리와 철과 대리석으로 만든 각종 그릇이요.
계피와 향료와 향과 향유와 유향과 포도주와 감람유와 고운 밀가루와 밀이라.
緋 : 뜻을 나타내는 실타래부와 음을 나타내는 非(비)가 합하여 이루어졌다.
緞 : 뜻을 나타내는 실타래부와 음을 나타내는 段(단)이 합하여 이루어졌다.
路 : 저마다 각각(各) 발로(足) 걸어 다니는 곳이라는 데서 「길」을 뜻하였다.
程 : 곡식 무게는 법이 정한 규정에 따라 측정되며 가격이 정해지게 되었다.
이 실크로드는 고대 6-7천년전경 동아시아문명(홍산문명)이 세계 4대문명
수메르문명, 이집트문명, 인도문명, 황하문명 등으로 발전하는 통로가 된 것이다.
지옥사상은 간빙기 이후 8-9천년전경 100미터 이상 해수면의 상승으로
바다가 된 평원대강(황하 발해 만에서 홍도, 이어도를 거쳐 오끼나와 태평양으로)
주변의 池屋(연못이 있는 집)이 地獄(땅에 감옥)으로 바뀌면서
저승(수몰된 낮은 지역)과 이승(수몰되지 않은 높은 지역)이라는 이야기가
무교에 남아 있으며 이런 이야기가 수메르지역으로 이동되면서 더욱 발전하고
유대교, 기독교에 도입되고 인도로 유입되며 힌두교, 불교에서 더욱 발전하였다.
동서 문화의 교통로는 바닷길과 초원길, 비단길이 있다.
바닷길을 통해서는 동북아시아의 비단이나 도자기가 서남아시아로 전래되고
서남아시아의 향료가 전파되었으며 향료길이라고도 한다.
초원길은 스키타이와 흉노족 등 유목 민족의 이동로로
초원길을 통해 청동기 문화가 전파되었고 게르만족의 대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단길은 동아시아와 유럽 지중해를 연결하는 무역 육로로
비단이나 사치품이 이 길을 통해 전래되었고
기독교나 조로아스터교, 불교나 이슬람교도 이 길을 통해 전파되었다.
현대 중국의 일대일로정책과 미국의 중국 봉쇄정책으로
비단노정을 장악하기 위하여 극한대립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시점에 한반도 정치세력은 친 중국이냐? 아니면 친 미국이냐?
선택하기가 매우 어려운 기로에 서 있는 형국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6.25전쟁 등 냉전시대를 거치며 한반도(남북한)는
새로운 질서재편을 슬기롭게 극복해야 하는 막다른 골목에 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