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송재유 이한수 기자의 인터뷰 기사
김정효
- 2100
- 2020-04-05 18:23:51
이한수 기자(조선일보 HOT 10)
'슬픈 중국' 출간한 캐나다 맥매스터대 교수
'집단이 개인에 우선, 공산당은 무오류' 앞세워
수천만명 죽인 중국정부의 인권유린 방관 안돼
현 정부의 반미친중 흐름의 뿌리는 NL자주파에
홍콩 시위가 중국 체제 변화의 신호탄 될 것
신간 ‘슬픈 중국: 인민민주독재 1948~1964’는 중국의 역사와 현재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내년까지 제2권 ‘문화대반란 1964~1976’, 제3권 ‘대륙의 자유인들 1976~현재’ 등 3부작으로 출간할 계획인 저자 송재윤(51) 캐나다 맥매스터대 교수는 “인간의 기본권이 보장되지 못하고 공산당 일당독재로 유지되고 있는 중국은 한마디로 ‘슬픈 중국’이라고 했다. 이메일로 질문하고 답변을 받았다. 아래는 인터뷰 전문.
'슬픈 중국'을 쓴 송재윤 캐나다 맥마스터대 교수.
'슬픈 중국'을 쓴 송재윤 캐나다 맥마스터대 교수.
―책 제목이 ‘슬픈 중국’이다.
“오늘날 중국은 중국공산당 일당독재의 국가다. 1949년 건국 이래 1976년 마오쩌둥 사망 때까지 중국의 인민들은 1948년 유엔총회에서 채택한 세계인권선언에 보장된 인간의 기본권을 거의 모두 박탈당한 채 비참한 극빈의 늪에서 허우적댔다. 집산화가 절정에 이르렀던 대약진운동 시기 중국의 인민은 대규모 집단농장에서 국가의 농노로 전락한 채 인류사 최악의 기근에 시달려야만 했다. 그 과정에서 3000만에서 4500만에 이르는 인민이 굶어죽고, 맞아죽고, 강제노역에 시달리다 숨졌다.
이어지는 문화대혁명(1966-1976) 시기 중국인들은 다시 또 ‘10년의 대동란(大動亂)’에 내몰렸다. 1978년 12월 13일 중공중앙 부주석 예잰잉(葉劍英·1897~1986)의 담화에 따르면, 문혁 기간 10년 동안 무려 전체 인구의 9분의 1에 달하는 1억 1300만 명이 ‘정치적 타격’을 입었다. 많게는 23만이 4300 여 건의 큰 규모 무장투쟁에서 희생됐고, 억울하게 죽임 당한 숫자는 수백만을 넘어 심지어는 2000만에 달한다는 주장도 있다. 정확한 피해의 규모는 영원히 밝힐 수 없을지 모른다.
그야말로 상상을 절하는 극단의 역사였다. 1978년 이후 개혁개방으로 중국은 30~40년에 걸쳐 경이로운 경제성장을 이어갔지만, 정치체제의 기본골격은 바뀌지 않았다. 중국공산당은 여전히 일당독재의 권위주의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 헌법 전문과 총강령 제1조는 중국이 ‘인민민주독재’의 사회주의 국가라 명시하고 있다. 중국의 인민들은 여전히 인간의 기본권을 누리지 못한다. 언론, 출판, 집회, 결사 등 표현의 자유는 극히 제한돼 있다. 사상, 종교, 양심의 자유도 보장되지 못한다. 거주 이전의 자유, 출산, 양육 등 사생활의 자유도 제한된다. 인구 14억의 ‘비대한 대륙 국가’인데 여전히 중국공산당의 일당독재로 유지되고 있다. 그런 중국의 현대사를 한 마디로 압축하면 ‘슬픈 중국’이 아닐까.”
친중 이데올로그들은 흔히 중국공산당의 능력주의(meritocracy), 시진핑의 탁월한 지도력, 공산당에 대한 중국인민의 압도적 지지 등을 강조하지만, 중국체제에 관한 그 모든 찬사는 중공정부의 프로파간다에 불과하다. 중국의 열악한 인권상황을 살펴보라. 빈부격차, 지역갈등, 도농갈등, 낙후된 의료시스템, 관료주의, 부패구조 등등 중국은 흡사 큰 화물을 싣고 육중하게 굴러가는 저거너트(Juggernaut)를 연상시킨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다시금 증명되었다. 중국의 문제는 더는 중국만의 문제일 수가 없다. 세계는 더 이상 중국공산당의 전체주의적 인권유린 및 정치범죄를 그대로 방관할 수는 없다. 중국은 변해야만 존속할 수 있다. 홍콩의 시위는 그 변화의 시작일 수 있다.”
―홍콩 이후엔 대만, 대만 이후엔 한국이 중국 지배에 들어갈 것이란 우려도 있다. 시진핑 주석은 한국이 원래 중국 것이었다고 한 적도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를 잘 돌아보자. 타이완과 홍콩은 모두 기민하게 중국발(發) 입국을 막았다. 그 결과 2020년 4월 1일 현재 타이완의 확진자는 329명, 홍콩은 714명으로 통제되고 있다. 일국양제 하에서 홍콩은 중국의 일부이다. 타이완의 제1교역국은 바로 중국이다. 대중국 수출이 전체 수출의 27.9%에 달한다. 그럼에도 타이완은 기민하게 중국발 입국을 막았다. 타이완은 또한 홍콩과 긴밀한 경제적 유대관계를 맺고 있다. 홍콩은 타이완의 제3교역 대상이다. 결국 타이완과 홍콩의 시스템이 연동돼 있음을 보여준다. 타이완과 홍콩 모두 중국 현실에 빠삭하기 때문에 기민한 봉쇄(containment) 전략으로 방역(防疫)의 성공을 이룰 수 있었다.
과연 중화인민공화국이 현 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타이완과 홍콩을 흡수할 수 있을까? 그럴 수는 없을 듯하다. 2019년 홍콩의 시위를 보라! 날마다 대규모 시위가 이어졌지만, 중공정부는 1989년처럼 무력진압을 시도할 생각조차 못한 듯하다. 이미 중국은 전 세계와 무역을 하는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덩치를 키웠다. 국제적 고립을 자초할 수 없다. 세계가 실시간으로 홍콩의 상황을 감시하는데, 베이징이 어떻게 1989년처럼 시민들에게 탱크부대를 보낼 수 있겠는가?
홍콩, 타이완, 한국, 일본, 베트남, 몽고 등 중국을 에워싼 모든 국가들은 강력한 ‘자유’의 연대를 결성해야 한다. 중국은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했지만, 글로벌 스탠다드(Global standards)에 맞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지 못한다. 오늘날 중국공산당은 인류를 위한 보편 이념을 창출하지 못한다. 기껏 ‘부강(富强)’을 제1가치로 내세우고 있다. 아편전쟁 이후 자강운동 당시의 모토 그대로이다. 100년 국치를 극복하고 부강한 국가를 만들겠다는 일념이다.
과거 중화제국은 동아시아에 통용되는 세계적 가치를 창출했다. 변방의 지식인들이 중화제국의 가치에 매료됐던 이유도 거기 있었다. 오늘날의 중국은 인류를 감동시키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지 못한다. 중국 정부는 자유주의가 서구의 가치이므로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국의 인권문제를 거론하면 ‘문화침략’이라 맞선다. 마르크스-레닌이즘 역시 서구에서 발원했으며, 인권은 서구의 가치가 아니라 보편가치이다.
오늘날 중국은 열린 대륙이 아니라 닫힌 섬과 같다. 인구는 많고 국토는 방대하지만, 이념적으로 너무나 왜소한 나라가 되어버렸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존속하기 위해선 앞으로 보다 민주적이고(more democratic), 보다 자유롭고(more liberal), 보다 헌정적이고(more constitutional), 보다 열린(more open) 체제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코로나 사태 이후 세계 모든 국가들이 공식적으로 중국 정부에 투명한 정보의 개방과 국제기준의 확립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마오쩌둥은 내전 승리를 위해 일본에 정보를 넘기고 대가를 받기도 했다는 얘기가 있다. 이런 일을 중국인들은 알지 못하나.
“이 책의 3, 4장에서는 국공내전 당시 공산당군의 만행이 집약된 ‘창춘 홀로코스트’를 다룬다. 창춘 홀로코스트의 생존자 중에는 당시 7세의 소녀 엔도 호마레(遠藤譽)가 있었다. 이 소녀는 이후 중국 정치를 연구하는 학자로 성장해 최근까지도 왕성한 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엔도 선생은 창춘 홀로코스트의 체험을 세밀하게 기록한 넌픽션을 발표했고, 이어서 중일전쟁 당시 중국공산당의 친일행각을 고발하는 문제작 ‘마오쩌둥: 일본군과 공모한 남자’를 발표했다. 한국어 번역본도 나와 있다(‘모택동: 인민의 배신자’). 엔도 선생의 고발에 의하면, 국공내전 당시 마오쩌둥은 일본과 공모한 친일분자다. 창춘 홀로코스트의 생존자가 역경을 딛고 일어나 그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중국공산당에 무서운 복수를 하고 있는 셈이다.
중국 정부는 대외적으로 200만의 인원을 고용해서 인터넷을 감시하고 있다고 선전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의 인터넷은 실시간으로 감시를 받는다. 중국의 언론통제, 소셜미디어 감시는 상상을 초월한다. 여러 사람이 가입한 소셜미디어의 단톡방 메시지에서 문제가 되는 한 두 텍스트를 핀셋으로 집듯 잡아내기도 한다. 2014년 이래 중국 정부는 개개인의 모든 신상정보를 취합해 등급을 매기는 사회신용시스템까지 구축해가고 있다. 때문에 인터넷 공간에서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거나 ‘불온’ 메시지를 주고받기 쉽지 않다. 시진핑 집권 이후로 더더욱 언론통제가 강화되고 표현의 자유가 위축됐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