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입장 표명이나 감리회 정책과 관계되지 않은 내용 등 "감리회 소식"과 거리가 먼 내용은 바로 삭제됩니다.
【메서드】알영화정(閼英華井)
함창석
- 1350
- 2020-04-16 20:15:51
閼英華井
시인/ 함창석 장로
어릴 적에 우리 할머니는 새벽 물을 길으시고 한 그릇 장독대에 올리며 소원을 비셨다. 이 지구 안에 물이 존재하지 아니 한다면 과연 생명은 존재할까? 사람은 생물인데 몸의 대부분이 물이다. 물중에도 증류수는 아니 되지만 정화수가 절대 필요하며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閼 : 閼자는 가로막다, 틀어막다, 그치다, 흉노 왕비(연), 한가하다(어) 뜻을 나타내는 문문(門 두 짝의 문, 문중ㆍ일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於(어)가 합(合)하여 이루어지며 물과 관련이 있다.
英 : 英자는 꽃부리, 명예, 못자리의 모(앙)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꽃부리는 꽃잎 전체를 일컫는 말이다. 식물과 관련된 것이기에 艹자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뛰어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華 : 華자는 빛나다, 화려하다, 번성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艸(초 풀)와 버드나무가지가 아름답게 늘어진 모양의 글자의 합자로 아름답게 꽃이 핀 가지, 풀의 뜻에서 화려함의 뜻이 되었다.
井 : 井자는 우물, 왕후의 무덤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지하수를 팔 때 쌓던 우물의 난간을 나타낸다. 옛 글자의 가운데 점은 두레박이다. 두레박을 표기한 丼(우물 정)자가 쓰이기도 했었다.
알영정은 신라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왕비인 알영이 태어난 우물이다. 알영정에 관해서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박혁거세 5년 정월에 용이 알영정에 나타났다. 용은 오른쪽 갈빗대에서 계집아이 하나를 낳았다. 늙은 할멈이 이 광경을 보고는 이상히 여기어 계집아이를 데려다 길렀다. 그리고는 우물 이름을 따서 계집아이의 이름을 지었다.’라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도 ‘사량리 알영정 가에 계룡이 나타나 왼쪽 갈비에서 계집아이 하나를 낳았다. 혹은 용이 나타나 죽으니 그 배를 갈라 계집아이를 얻었다.’라는 기록이 전한다. 이와 같은 정천신앙(井泉信仰)에 따른 탄생설화는 동북아시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현재 알영정의 위치를 확인할 수는 없으나 동경잡기에 따르면, 경주부의 남쪽 5리에 있었다고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우물유적은 중국 절강성 하모도 유적 2문화층에서 발굴된 것으로, 지금으로부터 6천년전경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3천 년대의 중동지역에서도 우물이 만들어졌다. 비교적 강수량이 적은 중동과 지중해 연안에서는 우물을 찾는 일이 쉽지 않아, 강과 저수지 등의 수원지에서 사람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물을 끌어오는 수로 공사가 활발했다.
우물은 맨 땅을 깊거나 얕게 파서 물이 괴게 하는 토정과 바위틈 사이로 솟거나 흐르는 물을 괴게 하는 석정이 있다. 석정은 바위를 옴폭하게 파 만든 것과 그 위에 다시 시설을 첨가하여 완성하는 것이 있다. 솟아서 괴는 물이 높은 자리에 있으면 통나무를 반으로 잘라 물홈을 판 수통을 설치하는 상수도시설로써 골짜기 아래의 절이나 정자, 살림집들에 급수할 수 있게 한다.
현대 지하수개발처럼 지하수를 퍼 올리기 위해 지면을 수직으로 파놓거나 관을 세로 방향으로 박아 넣은 설비를 말하는데 인구의 증대와 함께 자연수가 부족한 지방에서는 땅을 파내려가서 지하수를 이용하게 되었다. 우물굴착기술이 도입되어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까지만 해도 음료수와 가정 용수는 거의 우물물을 사용하였으며, 전답관개에서도 주로 우물물에 의존 하였다.
살아가는데 있어 물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 갈증 해소, 요리, 씻기와 같은 기본적인 생활은 물론이요, 농업, 목축 등의 생산 활동에 있어서도 물은 반드시 필요하다. 자연이 준 빗물과 강물에 의존하는 것보다 안정적으로 물을 확보하기 위해 인류는 각종 수리사업을 벌였다. 이 가운데 지하수를 퍼서 올려 사용하기 위해 만든 우물은 많은 신화와 역사를 간직한 곳이었다.
삼국사기에는 우물에 용이 나타났다는 기록이 다수 등장한다. 여기서 용은 물을 다스리는 용왕으로 표현되고, 용왕이 사는 용궁으로 가는 입구로 우물이 언급된다. 일연의 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 명랑법사는 용궁에 들어가 비법을 배우고, 자기 집 우물에서 솟아나왔다’고 최 근래까지도 정화수를 떠 놓고서 소원을 빌었던 민간신앙은 알영화정과 깊은 관련이 있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