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인물사전
잊혀진 사람을 되살리며 – 한국 감리교회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4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백 18년의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감리교회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리교인으로 선택하시어 당신의 도구로 활용하셨다. 이 부름에 응답한 한국 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의 큰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과 이웃, 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한국 감리교회를 세워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는 감리교인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국 감리교회를 만든 사람은 잊혀져 있다. 그 동안 몇몇 개인에 관한 전기나 회고록이 발행되기는 했으나 쉽게 구해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정이 그랬기에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인물사전의 편찬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에 역사위원회에서는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기억하고 기릴 뿐 아니라 한국 감리교회의 위상을 한국 교회와 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을 발행하게 되었다. — 발간사에서
2002년 10월
김명현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시영 조영렬 조이제 한규무
선교사사전
한국감리교회가 오늘의 성장이 있기까지는 수많은 외국선교사들의 땀과 눈물과 피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선교사들의 숫자와 생애와 사업에 관하여 별로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들의 신앙은 우리 신앙의 뿌리요 선교사들의 복음활동은 우리 전도활동의 뿌리이며 선교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은 오늘 우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선교사들을 아는데 너무나 등한시 해왔다.
우리 한국감리교사학회에서는 한국감리교회의 뿌리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630여명을 조사하여 그의 출생과 교육, 그리고 한국에 와서 이룩한 사업 등을 기록하여 [한국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라는 명칭으로 선교사 인명록을 출판한다. 학자, 기독교 지도자, 목사, 신학생들에게는 절대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본서의 출판비를 협조해 준 선교부 마태진 목사와 원고정리와 교정에 수고한 기정양에게 감사드린다. 본서를 사용하는 인사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한다. — 발간사에서
1989년 3월 18일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 윤춘병
[선교사사전]레인스(Raines Richard Campbell, 1898-)
- 239
- 2006-07-05 01:01:00
감독 재직중인 1952-1960년 그는 미감리교 외국 선교부 회장으로 한국 감리교 연락감독을 겸임하여 한국 교회 재건에 물심양면으로 공헌하였고, 1960-1964년 간에는 감리교 선교부 회장을 지냈다.
한국 교회와의 관계로는 8년 동안 거의 매해 한국을 다녀가 미국에서 한국 선전에 힘썼다. 그 결과 그의 연회에서 대전신학교 부지 구입과 도서관 건립에 주력하였고 한국 교회 재건비 160만 달러 모금에도 주역으로 활동했다. 1954-1955년에는 미군 소속으로 초대되어 한국구느이 군목제도 창설에 힘썼으며 성탄이 돌아오면 각 교회에 성탄헌금을 거두어 한국 웨슬레 구락부 사업과 고아들의 구제비로 보내오곤 했다. 지방 교역자들의 서울 유학생 기숙사로 쓰는 인우학사도 인디애나연회에서 보내온 기금으로 설립했으며 개인적으로 장학금을 모아 한국 교역자들이 미국 유학을 돕기도 했다. 한국은 나의 제2의 고향이라고 하며 한국을 사랑한 감독이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