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인물사전
잊혀진 사람을 되살리며 – 한국 감리교회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4년이다.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1백 18년의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감리교회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을 감리교인으로 선택하시어 당신의 도구로 활용하셨다. 이 부름에 응답한 한국 감리교인들은 하나님의 큰 뜻을 실현하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그들은 자신과 이웃, 사회를 변화시키면서, 한국 감리교회를 세워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는 감리교인에게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한국 감리교회를 만든 사람은 잊혀져 있다. 그 동안 몇몇 개인에 관한 전기나 회고록이 발행되기는 했으나 쉽게 구해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정이 그랬기에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인물사전의 편찬이 절실히 요청되었던 것이다. 이에 역사위원회에서는 감리교의 역사 인물을 기억하고 기릴 뿐 아니라 한국 감리교회의 위상을 한국 교회와 사회에 알리기 위해 《한국 감리교 인물사전》을 발행하게 되었다. — 발간사에서
2002년 10월
김명현 김흥수 서영석 이덕주 이시영 조영렬 조이제 한규무
선교사사전
한국감리교회가 오늘의 성장이 있기까지는 수많은 외국선교사들의 땀과 눈물과 피의 역사가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그 선교사들의 숫자와 생애와 사업에 관하여 별로 많이 알지 못하고 있다.
선교사들의 신앙은 우리 신앙의 뿌리요 선교사들의 복음활동은 우리 전도활동의 뿌리이며 선교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은 오늘 우리들의 기독교 문화활동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선교사들을 아는데 너무나 등한시 해왔다.
우리 한국감리교사학회에서는 한국감리교회의 뿌리를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630여명을 조사하여 그의 출생과 교육, 그리고 한국에 와서 이룩한 사업 등을 기록하여 [한국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라는 명칭으로 선교사 인명록을 출판한다. 학자, 기독교 지도자, 목사, 신학생들에게는 절대 필요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본서의 출판비를 협조해 준 선교부 마태진 목사와 원고정리와 교정에 수고한 기정양에게 감사드린다. 본서를 사용하는 인사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같이 하시기를 기원한다. — 발간사에서
1989년 3월 18일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회장 윤춘병
[선교사사전]캠벨(Campbell, Mrs. Josephene P. 강모인姜慕仁, 1852.4.1-1920.11.12)
- 369
- 2006-07-05 01:01:00
미국 텍사스 출생. 일찍이 요셉 캠벨 목사와 결혼했으나 1880년 남편과 두 남매까지 사망하자 시카고에서 간호학교와 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중국 선교사로 상하이(上海)와 쑤저우(蘇州)에서 1887년 선교사로 파송받아 10년간 선교 사업에 힘썼다.
미남감리교회에서 한국에 선교를 시작하자 1897년 한국으로 전임하여 같이 온 중국인 여또라(余小姐 Dora Yui)와 함께 여자교육을 시작하였으며, 사우스케롤라이나의 지원을 받아 캐롤라이나학당으로 하였다. 후에 윤치호는 1903년 배화학당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이 학교가 오늘의 배화여자중고등학교가 되었다. 1900년 4월 15일(부활 주일)부터 배화학당 기도실에서 예배를 드린 것이 오늘 종교교회와 자교교회가 되었고 1901년 9월에는 붉은 벽돌로 교회당을 건축한 후 헌금한 이의 이름을 따라 루이스 워커기념예배당이라 하였다. 1908년 종침교부근 도렴동에 교회를 이전하여 종교교회라 불렀으며, 1914년 고간동에서 사직단 뒤쪽으로 이전하여 선교부지와 배화학당을 옮겨갔다.
1918년 안식년으로 귀국하였다가 득병하였으나 그래도 1919년 8월 재차 내한 1920년 11월 12일 별세하여 15일 배화학당장으로 장례식을 거행한 후 양화진에 안장하였다. 배화교정에는 캠벨기념관(1926년)과 여선교사 사택이 남아있으며, 1998년 개교100주년으로 캠벨의 흉상을 세우고 그녀의 선교정신을 기리고 있다.
댓글